의협 “사직 전공의 입영 대기는 평등권 침해…헌법소원 청구”
입력 2025.04.10 (16:01)
수정 2025.04.10 (16: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는 사직 전공의들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입영 대기하도록 한 국방부 개정 훈령에 대해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2월 훈령을 개정해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국방부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게 합니다.
한 해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보통 천 명 남짓이지만,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로 올해 입영 대상자는 3배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민수 의협 정책 이사는 오늘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개정 훈령은 의무사관후보생인 전공의들의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 제11조 평등권, 제15조 직업선택의 자유를 모두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됨이 명백하다”며 “당해연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된 사직 전공의들은 개정 훈령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이사는 “국민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것인지는 개인의 삶에 매우 주요한 사안이며 정당한 절차가 보장돼야 하는데, 이번 훈령 개정은 전공의와 의료계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고 진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방부는 인력 과잉을 조절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이전에 작성한 복무지원서 내용과는 달리 자신의 입영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수련·취업·개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같은 병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군의관 지원은 줄어들고 현역 일반병으로 입영하려는 의대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 2월 훈령을 개정해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국방부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게 합니다.
한 해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보통 천 명 남짓이지만,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로 올해 입영 대상자는 3배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민수 의협 정책 이사는 오늘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개정 훈령은 의무사관후보생인 전공의들의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 제11조 평등권, 제15조 직업선택의 자유를 모두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됨이 명백하다”며 “당해연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된 사직 전공의들은 개정 훈령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이사는 “국민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것인지는 개인의 삶에 매우 주요한 사안이며 정당한 절차가 보장돼야 하는데, 이번 훈령 개정은 전공의와 의료계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고 진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방부는 인력 과잉을 조절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이전에 작성한 복무지원서 내용과는 달리 자신의 입영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수련·취업·개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같은 병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군의관 지원은 줄어들고 현역 일반병으로 입영하려는 의대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협 “사직 전공의 입영 대기는 평등권 침해…헌법소원 청구”
-
- 입력 2025-04-10 16:01:09
- 수정2025-04-10 16:13:13

대한의사협회는 사직 전공의들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입영 대기하도록 한 국방부 개정 훈령에 대해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2월 훈령을 개정해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국방부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게 합니다.
한 해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보통 천 명 남짓이지만,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로 올해 입영 대상자는 3배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민수 의협 정책 이사는 오늘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개정 훈령은 의무사관후보생인 전공의들의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 제11조 평등권, 제15조 직업선택의 자유를 모두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됨이 명백하다”며 “당해연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된 사직 전공의들은 개정 훈령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이사는 “국민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것인지는 개인의 삶에 매우 주요한 사안이며 정당한 절차가 보장돼야 하는데, 이번 훈령 개정은 전공의와 의료계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고 진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방부는 인력 과잉을 조절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이전에 작성한 복무지원서 내용과는 달리 자신의 입영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수련·취업·개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같은 병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군의관 지원은 줄어들고 현역 일반병으로 입영하려는 의대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 2월 훈령을 개정해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국방부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게 합니다.
한 해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보통 천 명 남짓이지만,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로 올해 입영 대상자는 3배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선발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민수 의협 정책 이사는 오늘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개정 훈령은 의무사관후보생인 전공의들의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 제11조 평등권, 제15조 직업선택의 자유를 모두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됨이 명백하다”며 “당해연도 현역 미 선발자로 분류된 사직 전공의들은 개정 훈령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이사는 “국민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것인지는 개인의 삶에 매우 주요한 사안이며 정당한 절차가 보장돼야 하는데, 이번 훈령 개정은 전공의와 의료계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고 진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국방부는 인력 과잉을 조절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직 전공의들은 이전에 작성한 복무지원서 내용과는 달리 자신의 입영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수련·취업·개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 같은 병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군의관 지원은 줄어들고 현역 일반병으로 입영하려는 의대생이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