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불확실성에도 주식·가상화폐 ‘훨훨’…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

입력 2025.07.11 (21:14) 수정 2025.07.11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뒤로 하고, 미국 주식과 가상화폐 값이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관세 정책 덕분이라면서, 기준금리 인하까지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는 시가총액이 종가 기준으로도 4조 달러를 넘어서며, 전 세계 1위에 올랐습니다.

오락가락 관세 불확실성에 이젠 주식 시장이 내성이 생긴 데다, 인공지능 열풍에 힘입은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멜리사 브라운/심코프 투자 결정 연구 책임자 : "실적 발표가 시작됐거나 곧 시작될 예정인데, 투자자들은 이번 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편입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도 연일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위축됐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게 다 자신 덕분이라고 했습니다.

트럼프는 대대적 관세 도입 후 기술주와 산업주, 나스닥이 최고치를 기록했고, 가상화폐는 천장을 뚫고 있다고 썼습니다.

그러니 기준금리를 내리라고, 또, 연방준비제도를 압박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선 느리다, 바보 같다는 악담과 함께, 사임을 촉구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8일 : "우리는 금리를 인하할 사람을 그 자리에 앉혀야 합니다. 왜 그의 사임을 요구하지 않는 겁니까?"]

이달 말 열릴 금리 결정 회의를 앞두고 트럼프의 공개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금리가 동결될 거란 전망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백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불확실성에도 주식·가상화폐 ‘훨훨’…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
    • 입력 2025-07-11 21:14:02
    • 수정2025-07-11 22:32:55
    뉴스 9
[앵커]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뒤로 하고, 미국 주식과 가상화폐 값이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관세 정책 덕분이라면서, 기준금리 인하까지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는 시가총액이 종가 기준으로도 4조 달러를 넘어서며, 전 세계 1위에 올랐습니다.

오락가락 관세 불확실성에 이젠 주식 시장이 내성이 생긴 데다, 인공지능 열풍에 힘입은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멜리사 브라운/심코프 투자 결정 연구 책임자 : "실적 발표가 시작됐거나 곧 시작될 예정인데, 투자자들은 이번 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편입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도 연일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위축됐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게 다 자신 덕분이라고 했습니다.

트럼프는 대대적 관세 도입 후 기술주와 산업주, 나스닥이 최고치를 기록했고, 가상화폐는 천장을 뚫고 있다고 썼습니다.

그러니 기준금리를 내리라고, 또, 연방준비제도를 압박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해선 느리다, 바보 같다는 악담과 함께, 사임을 촉구 중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8일 : "우리는 금리를 인하할 사람을 그 자리에 앉혀야 합니다. 왜 그의 사임을 요구하지 않는 겁니까?"]

이달 말 열릴 금리 결정 회의를 앞두고 트럼프의 공개 압박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금리가 동결될 거란 전망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백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