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미국과 무역협상 3단계 진행…7월 전 잠정합의 기대”

입력 2025.05.20 (13:53) 수정 2025.05.20 (13: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인도가 무역 협정을 논의하는 가운데 협상이 3단계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며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7월 전에는 잠정 합의를 기대하고 있다고 인도 당국 소식통을 인용해 블룸버그 통신이 20일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양국은 7월 전에 산업재와 일부 농산물, 품질 관리 요건과 같은 비관세 장벽 등에서 무역협정 잠정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 중입니다.

잠정 합의에 도달하면 더 포괄적이고 상세한 합의를 진행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쿼드 정상회의 참석차 올해 가을 인도를 찾으면 이에 맞춰 양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어 양국 의회 비준을 거쳐 포괄적인 무역 협정이 발효되는 데 이는 내년에야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습니다.

현재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미국 무역대표부 등과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과 예상보다 강경한 인도의 태도로 무역 협상도 긴장 상태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인도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먼저 무역 협상에 돌입한 나라입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미국 워싱턴을 찾아 정상회담을 하고 연내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 때문에 인도가 미국과 가장 먼저 무역 협상에 합의하는 국가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양국이 협상을 진행하던 중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이 벌어지면서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두 나라를 중재했고, 특히 무역을 지렛대 삼아 휴전을 끌어냈다고 자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인도가 미국 제품에 대한 무관세를 제안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인도 당국은 파키스탄과의 휴전에 다른 나라가 개입하지 않았으며, 미국과의 통화에서도 무역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전면 부인했습니다.

또 인도의 무관세 제안에 대해서도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합의가 나오기 전까지는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인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도, 미국과 무역협상 3단계 진행…7월 전 잠정합의 기대”
    • 입력 2025-05-20 13:53:26
    • 수정2025-05-20 13:56:31
    국제
미국과 인도가 무역 협정을 논의하는 가운데 협상이 3단계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며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7월 전에는 잠정 합의를 기대하고 있다고 인도 당국 소식통을 인용해 블룸버그 통신이 20일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양국은 7월 전에 산업재와 일부 농산물, 품질 관리 요건과 같은 비관세 장벽 등에서 무역협정 잠정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 중입니다.

잠정 합의에 도달하면 더 포괄적이고 상세한 합의를 진행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쿼드 정상회의 참석차 올해 가을 인도를 찾으면 이에 맞춰 양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어 양국 의회 비준을 거쳐 포괄적인 무역 협정이 발효되는 데 이는 내년에야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습니다.

현재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미국 무역대표부 등과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과 예상보다 강경한 인도의 태도로 무역 협상도 긴장 상태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인도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먼저 무역 협상에 돌입한 나라입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미국 워싱턴을 찾아 정상회담을 하고 연내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 때문에 인도가 미국과 가장 먼저 무역 협상에 합의하는 국가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양국이 협상을 진행하던 중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이 벌어지면서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두 나라를 중재했고, 특히 무역을 지렛대 삼아 휴전을 끌어냈다고 자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인도가 미국 제품에 대한 무관세를 제안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인도 당국은 파키스탄과의 휴전에 다른 나라가 개입하지 않았으며, 미국과의 통화에서도 무역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전면 부인했습니다.

또 인도의 무관세 제안에 대해서도 “양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합의가 나오기 전까지는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인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