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K] 오락가락 관세 정책…부산 기업 영향은?

입력 2025.04.16 (19:51) 수정 2025.04.16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오락 가락하면서 국제 무역 환경에 혼선을 주고 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부산 기업들에겐 이런 불확실성이 곧 위기로 직결됩니다.

미국발 관세 변화가 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짚어봅니다.

부산상의 심재운 경제정책본부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90일 간 관세를 유예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이후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 제품에 대해서도 면제된다 했다가 다시 "관세 부과에 예외는 없다"며 정정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일단 부산 기업들은 '관세 유예'로 한숨은 돌렸다는 반응도 있지만, 지역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관세 혼란 속, 부산 기업들은 어떤 영향을 있을지 궁금한데요.

특히 친환경 설비나 자동차 부품, 조선기자재 분야에서는 어떤 변화가 예상되십니까?

[앵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에서도, 기업 절반 이상이 관세 쇼크를 우려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이런 불안감이 단순한 전망 차원의 우려인지, 아니면 실제로 기업 현장에서는 이미 체감되는 변화가 시작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대응 방안으로 기술 개발과 신시장 개척이 언급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선 여러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기업들은 R&D 투자나 신시장 개척을 대응책으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런 전략이 얼마나 실행 가능한 상황인가요?

[앵커]

중요한 부분은 정부의 지원일텐데요.

지금 정부 차원에서 어떤 지원이 이뤄지고 있고, 기업 입장에서 진짜로 필요한 지원은 어떤 건지 짚어주시죠.

[앵커]

지역에서의 대응도 짚어보겠습니다.

부산시나 부산상공회의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앵커]

끝으로, 이번 사태를 단순히 위기로만 볼 게 아니라, 산업 체질을 바꾸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말도 나옵니다.

지금 시점에서 꼭 필요한 변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지금까지 부산상의 심재운 경제정책본부장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한K] 오락가락 관세 정책…부산 기업 영향은?
    • 입력 2025-04-16 19:51:44
    • 수정2025-04-16 20:14:14
    뉴스7(부산)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오락 가락하면서 국제 무역 환경에 혼선을 주고 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부산 기업들에겐 이런 불확실성이 곧 위기로 직결됩니다.

미국발 관세 변화가 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짚어봅니다.

부산상의 심재운 경제정책본부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90일 간 관세를 유예하는 조치를 취한다는 이후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 제품에 대해서도 면제된다 했다가 다시 "관세 부과에 예외는 없다"며 정정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일단 부산 기업들은 '관세 유예'로 한숨은 돌렸다는 반응도 있지만, 지역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관세 혼란 속, 부산 기업들은 어떤 영향을 있을지 궁금한데요.

특히 친환경 설비나 자동차 부품, 조선기자재 분야에서는 어떤 변화가 예상되십니까?

[앵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에서도, 기업 절반 이상이 관세 쇼크를 우려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이런 불안감이 단순한 전망 차원의 우려인지, 아니면 실제로 기업 현장에서는 이미 체감되는 변화가 시작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대응 방안으로 기술 개발과 신시장 개척이 언급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선 여러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기업들은 R&D 투자나 신시장 개척을 대응책으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런 전략이 얼마나 실행 가능한 상황인가요?

[앵커]

중요한 부분은 정부의 지원일텐데요.

지금 정부 차원에서 어떤 지원이 이뤄지고 있고, 기업 입장에서 진짜로 필요한 지원은 어떤 건지 짚어주시죠.

[앵커]

지역에서의 대응도 짚어보겠습니다.

부산시나 부산상공회의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앵커]

끝으로, 이번 사태를 단순히 위기로만 볼 게 아니라, 산업 체질을 바꾸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말도 나옵니다.

지금 시점에서 꼭 필요한 변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지금까지 부산상의 심재운 경제정책본부장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