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묵 한 개에 3천 원이랍니다”…바가지요금, 이번엔 부산? [잇슈#태그]
입력 2025.08.21 (10:31)
수정 2025.08.21 (10: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부산의 한 유명 관광지에서 어묵값을 두고 바가지요금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유튜버가 길거리 가게에서 어묵 가격을 묻자 "한 개에 3천 원"이라는 답이 돌아온 겁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이 얼마예요?) 3천 원이요.
(몇 개예요?) 한 개에 3천 원.
다른 가게도 가 봤지만, 같은 가격이었습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 얼마예요?) 3천 원.
(몇 개예요?) 하나에.
유튜버 일행이 너무 비싸다는 반응을 보이자 가게 주인은 "어묵 자체가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이 공개되자 "부산 토박이지만 어묵 하나에 3천 원은 처음 본다" "보통 납품가는 2백 원 안팎"이라며 '바가지'라는 댓글이 만 개 넘게 달렸습니다.
한 시민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까지 제기했지만,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에 맡겨져 있다며, 강제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 임세정)
한 유튜버가 길거리 가게에서 어묵 가격을 묻자 "한 개에 3천 원"이라는 답이 돌아온 겁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이 얼마예요?) 3천 원이요.
(몇 개예요?) 한 개에 3천 원.
다른 가게도 가 봤지만, 같은 가격이었습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 얼마예요?) 3천 원.
(몇 개예요?) 하나에.
유튜버 일행이 너무 비싸다는 반응을 보이자 가게 주인은 "어묵 자체가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이 공개되자 "부산 토박이지만 어묵 하나에 3천 원은 처음 본다" "보통 납품가는 2백 원 안팎"이라며 '바가지'라는 댓글이 만 개 넘게 달렸습니다.
한 시민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까지 제기했지만,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에 맡겨져 있다며, 강제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 임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묵 한 개에 3천 원이랍니다”…바가지요금, 이번엔 부산? [잇슈#태그]
-
- 입력 2025-08-21 10:31:45
- 수정2025-08-21 10:33:01

최근 부산의 한 유명 관광지에서 어묵값을 두고 바가지요금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 유튜버가 길거리 가게에서 어묵 가격을 묻자 "한 개에 3천 원"이라는 답이 돌아온 겁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이 얼마예요?) 3천 원이요.
(몇 개예요?) 한 개에 3천 원.
다른 가게도 가 봤지만, 같은 가격이었습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 얼마예요?) 3천 원.
(몇 개예요?) 하나에.
유튜버 일행이 너무 비싸다는 반응을 보이자 가게 주인은 "어묵 자체가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이 공개되자 "부산 토박이지만 어묵 하나에 3천 원은 처음 본다" "보통 납품가는 2백 원 안팎"이라며 '바가지'라는 댓글이 만 개 넘게 달렸습니다.
한 시민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까지 제기했지만,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에 맡겨져 있다며, 강제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 임세정)
한 유튜버가 길거리 가게에서 어묵 가격을 묻자 "한 개에 3천 원"이라는 답이 돌아온 겁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이 얼마예요?) 3천 원이요.
(몇 개예요?) 한 개에 3천 원.
다른 가게도 가 봤지만, 같은 가격이었습니다.
[해당 유튜버]
(매운 어묵 얼마예요?) 3천 원.
(몇 개예요?) 하나에.
유튜버 일행이 너무 비싸다는 반응을 보이자 가게 주인은 "어묵 자체가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이 공개되자 "부산 토박이지만 어묵 하나에 3천 원은 처음 본다" "보통 납품가는 2백 원 안팎"이라며 '바가지'라는 댓글이 만 개 넘게 달렸습니다.
한 시민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까지 제기했지만,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에 맡겨져 있다며, 강제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구성 : 임경민 작가, 영상 편집 : 임세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