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돼? 안 돼? 소비쿠폰 사용처 정리해 드려요 [박대기의 핫클립]

입력 2025.07.10 (18:07) 수정 2025.07.10 (1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6만 원짜리 샤넬과 별 차이 없다며 인기를 모은 3천 원짜리 다이소 화장품입니다.

막강한 가성비로 다이소는 어느새 '서민의 친구'로 자리잡았는데요.

이달 말 지급되는 전 국민 소비 쿠폰을 이 다이소에서 쓸 수 있는건지 설왕설래 말이 많습니다.

정답은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인데요.

무슨 얘기일까요?

소비쿠폰 사용 기준,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서준맘/유튜브 '안녕하세미' : "주부들의 정말 필수인 곳이 있잖아. 나 여기 없으면 죽었어. 오늘 서준맘이 다이소를 싹쓸이 하고 왔어."]

다이소 매장은 전국에 1,500여 곳이 있습니다.

겉보기엔 다 같지만 종류가 다릅니다.

70%는 본사가 운영하는 직영점이고, 30%만 가맹점인데요.

소비쿠폰은 직영점에는 쓸 수 없고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기업이 아닌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살린다는 정책 취지 때문입니다.

그러면 어디가 가맹점이냐,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매장엔 다이소 측이 스티커를 붙이겠다고 합니다.

[로라/프랑스인 관광객/지난 1월 : "프랑스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한국 화장품을 많이 구매해요. 소셜 미디어에서도 많이 볼 수 있고 아주 유명해요."]

화장품 강국 프랑스에서도 이제는 한국에 와서 화장품을 사가는 시대입니다.

K-뷰티로 뜬 올리브영 역시 가맹점에서만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데요.

전체 매장의 16%가 사용처에 해당됩니다.

맥도날드와 버거킹도 각각 15%, 25%만 가맹점이니까 소비쿠폰이 가능한지 매장을 잘 찾으셔야 합니다.

100% 직영 체제인 스타벅스에선 소비쿠폰을 쓸 수 없겠죠.

프랜차이즈 매장이라도 가맹점이 대부분인 치킨이나 저가 커피숍은 사용이 가능하고요.

동네 개인 카페에서는 당연히 마음 놓고 소비쿠폰을 쓰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도 쓸 수 있는데,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남정달/경북 문경시 마을 이장/2020년 : "농협이나 병원, 식당은 사용을 못 하게 하고, 전통시장만 사용할 수 있으니까 1만 원짜리를 7~8천 원에 깡을 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예전 재난지원금은 사용처가 많지 않아, 농촌 주민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는데요.

이번 소비쿠폰은 병원과 식당은 물론 일부 면 지역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하도록 범위를 넓혔습니다.

배달앱으로 음식 주문을 할 때도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데요.

다만, 선결제는 안 되고 만나서 직접 결제하는 방식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권혜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이소 돼? 안 돼? 소비쿠폰 사용처 정리해 드려요 [박대기의 핫클립]
    • 입력 2025-07-10 18:07:15
    • 수정2025-07-10 18:15:03
    경제콘서트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6만 원짜리 샤넬과 별 차이 없다며 인기를 모은 3천 원짜리 다이소 화장품입니다.

막강한 가성비로 다이소는 어느새 '서민의 친구'로 자리잡았는데요.

이달 말 지급되는 전 국민 소비 쿠폰을 이 다이소에서 쓸 수 있는건지 설왕설래 말이 많습니다.

정답은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인데요.

무슨 얘기일까요?

소비쿠폰 사용 기준,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서준맘/유튜브 '안녕하세미' : "주부들의 정말 필수인 곳이 있잖아. 나 여기 없으면 죽었어. 오늘 서준맘이 다이소를 싹쓸이 하고 왔어."]

다이소 매장은 전국에 1,500여 곳이 있습니다.

겉보기엔 다 같지만 종류가 다릅니다.

70%는 본사가 운영하는 직영점이고, 30%만 가맹점인데요.

소비쿠폰은 직영점에는 쓸 수 없고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기업이 아닌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살린다는 정책 취지 때문입니다.

그러면 어디가 가맹점이냐,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매장엔 다이소 측이 스티커를 붙이겠다고 합니다.

[로라/프랑스인 관광객/지난 1월 : "프랑스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한국 화장품을 많이 구매해요. 소셜 미디어에서도 많이 볼 수 있고 아주 유명해요."]

화장품 강국 프랑스에서도 이제는 한국에 와서 화장품을 사가는 시대입니다.

K-뷰티로 뜬 올리브영 역시 가맹점에서만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데요.

전체 매장의 16%가 사용처에 해당됩니다.

맥도날드와 버거킹도 각각 15%, 25%만 가맹점이니까 소비쿠폰이 가능한지 매장을 잘 찾으셔야 합니다.

100% 직영 체제인 스타벅스에선 소비쿠폰을 쓸 수 없겠죠.

프랜차이즈 매장이라도 가맹점이 대부분인 치킨이나 저가 커피숍은 사용이 가능하고요.

동네 개인 카페에서는 당연히 마음 놓고 소비쿠폰을 쓰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도 쓸 수 있는데,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남정달/경북 문경시 마을 이장/2020년 : "농협이나 병원, 식당은 사용을 못 하게 하고, 전통시장만 사용할 수 있으니까 1만 원짜리를 7~8천 원에 깡을 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예전 재난지원금은 사용처가 많지 않아, 농촌 주민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는데요.

이번 소비쿠폰은 병원과 식당은 물론 일부 면 지역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하도록 범위를 넓혔습니다.

배달앱으로 음식 주문을 할 때도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데요.

다만, 선결제는 안 되고 만나서 직접 결제하는 방식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권혜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