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임승차 안돼”…자구책 내놔야 정부지원
입력 2025.08.20 (21:18)
수정 2025.08.20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수의 여천NCC, 최근 3공장 생산라인이 멈췄습니다.
우리 대표 기반 산업이자, 수출을 이끌던 석유화학, 산업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
3대 석유화학 산업단지, 여수와 울산에서 십여 개 넘는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했고요.
대산 산업단지에선 대표 기업들이 통폐합을 논의 중입니다.
중국산의 저가 공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의 경우, 4년 새 중국의 생산 능력이 60% 이상 증가하며 우리 업계에 타격이 됐습니다.
이대로면 3년 안에 기업 절반은 사라진다는 분석도 있었는데요.
결국 정부가 석유화학 산업 구조 개편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다, 정부가 본 석유화학 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고,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먼저 기업에 몸집 줄일 것을 요구했습니다.
업계가 내놓은 에틸렌 생산 설비 감축 규모는 최대 370만 톤, 국내 석유화학 전체 설비의 25% 수준이고 업계 1위 LG화학의 설비 규모를 웃돕니다.
자율적 사업재편이 기본이라면서도, 정부는 눈치보기하며 이행을 미루면 지원에서 배제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무임승차 기업에게는 단호하게 대응하겠습니다. 자구 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설비 감축 혜택만을 누리려는 기업은…"]
2022년부터 4년째 적자인 석유화학업계.
에틸렌 생산설비 가동률은 5년 전 89.2%에서 80%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계획대로 몸집을 줄이면 수익성을 담보할 적정 가동률 85%를 확보할 거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는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한 범용 제품 대신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인데, 여기에도 정부 지원은 필요합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선진국이) 이미 다 먹고 있는 시장을 비집고 들어가야 되는 거라서 어려운 얘기고요. 수요가 반드시 담보가 되려면 정부가 엮어줘야 됩니다."]
정부는 지역 경제를 감안해 산업단지가 위치한 여수에 이어 서산도 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지원금과 융자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지선호/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김성일 조재현
여수의 여천NCC, 최근 3공장 생산라인이 멈췄습니다.
우리 대표 기반 산업이자, 수출을 이끌던 석유화학, 산업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
3대 석유화학 산업단지, 여수와 울산에서 십여 개 넘는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했고요.
대산 산업단지에선 대표 기업들이 통폐합을 논의 중입니다.
중국산의 저가 공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의 경우, 4년 새 중국의 생산 능력이 60% 이상 증가하며 우리 업계에 타격이 됐습니다.
이대로면 3년 안에 기업 절반은 사라진다는 분석도 있었는데요.
결국 정부가 석유화학 산업 구조 개편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다, 정부가 본 석유화학 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고,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먼저 기업에 몸집 줄일 것을 요구했습니다.
업계가 내놓은 에틸렌 생산 설비 감축 규모는 최대 370만 톤, 국내 석유화학 전체 설비의 25% 수준이고 업계 1위 LG화학의 설비 규모를 웃돕니다.
자율적 사업재편이 기본이라면서도, 정부는 눈치보기하며 이행을 미루면 지원에서 배제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무임승차 기업에게는 단호하게 대응하겠습니다. 자구 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설비 감축 혜택만을 누리려는 기업은…"]
2022년부터 4년째 적자인 석유화학업계.
에틸렌 생산설비 가동률은 5년 전 89.2%에서 80%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계획대로 몸집을 줄이면 수익성을 담보할 적정 가동률 85%를 확보할 거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는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한 범용 제품 대신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인데, 여기에도 정부 지원은 필요합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선진국이) 이미 다 먹고 있는 시장을 비집고 들어가야 되는 거라서 어려운 얘기고요. 수요가 반드시 담보가 되려면 정부가 엮어줘야 됩니다."]
정부는 지역 경제를 감안해 산업단지가 위치한 여수에 이어 서산도 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지원금과 융자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지선호/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김성일 조재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임승차 안돼”…자구책 내놔야 정부지원
-
- 입력 2025-08-20 21:18:50
- 수정2025-08-20 22:22:18

[앵커]
여수의 여천NCC, 최근 3공장 생산라인이 멈췄습니다.
우리 대표 기반 산업이자, 수출을 이끌던 석유화학, 산업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
3대 석유화학 산업단지, 여수와 울산에서 십여 개 넘는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했고요.
대산 산업단지에선 대표 기업들이 통폐합을 논의 중입니다.
중국산의 저가 공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의 경우, 4년 새 중국의 생산 능력이 60% 이상 증가하며 우리 업계에 타격이 됐습니다.
이대로면 3년 안에 기업 절반은 사라진다는 분석도 있었는데요.
결국 정부가 석유화학 산업 구조 개편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다, 정부가 본 석유화학 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고,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먼저 기업에 몸집 줄일 것을 요구했습니다.
업계가 내놓은 에틸렌 생산 설비 감축 규모는 최대 370만 톤, 국내 석유화학 전체 설비의 25% 수준이고 업계 1위 LG화학의 설비 규모를 웃돕니다.
자율적 사업재편이 기본이라면서도, 정부는 눈치보기하며 이행을 미루면 지원에서 배제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무임승차 기업에게는 단호하게 대응하겠습니다. 자구 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설비 감축 혜택만을 누리려는 기업은…"]
2022년부터 4년째 적자인 석유화학업계.
에틸렌 생산설비 가동률은 5년 전 89.2%에서 80%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계획대로 몸집을 줄이면 수익성을 담보할 적정 가동률 85%를 확보할 거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는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한 범용 제품 대신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인데, 여기에도 정부 지원은 필요합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선진국이) 이미 다 먹고 있는 시장을 비집고 들어가야 되는 거라서 어려운 얘기고요. 수요가 반드시 담보가 되려면 정부가 엮어줘야 됩니다."]
정부는 지역 경제를 감안해 산업단지가 위치한 여수에 이어 서산도 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지원금과 융자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지선호/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김성일 조재현
여수의 여천NCC, 최근 3공장 생산라인이 멈췄습니다.
우리 대표 기반 산업이자, 수출을 이끌던 석유화학, 산업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
3대 석유화학 산업단지, 여수와 울산에서 십여 개 넘는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했고요.
대산 산업단지에선 대표 기업들이 통폐합을 논의 중입니다.
중국산의 저가 공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인 에틸렌의 경우, 4년 새 중국의 생산 능력이 60% 이상 증가하며 우리 업계에 타격이 됐습니다.
이대로면 3년 안에 기업 절반은 사라진다는 분석도 있었는데요.
결국 정부가 석유화학 산업 구조 개편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다, 정부가 본 석유화학 업계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고,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먼저 기업에 몸집 줄일 것을 요구했습니다.
업계가 내놓은 에틸렌 생산 설비 감축 규모는 최대 370만 톤, 국내 석유화학 전체 설비의 25% 수준이고 업계 1위 LG화학의 설비 규모를 웃돕니다.
자율적 사업재편이 기본이라면서도, 정부는 눈치보기하며 이행을 미루면 지원에서 배제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무임승차 기업에게는 단호하게 대응하겠습니다. 자구 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설비 감축 혜택만을 누리려는 기업은…"]
2022년부터 4년째 적자인 석유화학업계.
에틸렌 생산설비 가동률은 5년 전 89.2%에서 80%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계획대로 몸집을 줄이면 수익성을 담보할 적정 가동률 85%를 확보할 거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는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한 범용 제품 대신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인데, 여기에도 정부 지원은 필요합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선진국이) 이미 다 먹고 있는 시장을 비집고 들어가야 되는 거라서 어려운 얘기고요. 수요가 반드시 담보가 되려면 정부가 엮어줘야 됩니다."]
정부는 지역 경제를 감안해 산업단지가 위치한 여수에 이어 서산도 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지원금과 융자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상원 지선호/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고석훈 김성일 조재현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