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코앞인데”…기록적 폭우에 생채기 난 농촌
입력 2025.07.18 (21:06)
수정 2025.07.18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시설하우스 등에서 키우던 농작물 피해도 상당합니다.
농민들은 못 쓰게 된 작물이 썩어가는 걸 속수무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빗물이 들어찼던 하우스 내부가 온통 진흙투성이입니다.
출하를 코앞에 둔 멜론이 매달려 있지만, 물에 잠겼던 아랫부분부터 썩기 시작했습니다.
[홍석길/멜론 재배 농민 : "수박들이 전부 물에 차고 멜론, 열무 다 물이 차 가지고 지금 쓸 게 하나도 없어요."]
제철인 수박도 갈라지고 터져 성한 걸 찾기 힘듭니다.
수박이나 멜론 같은 작물은 한번 물이 들어차면 사실상 모두 폐기 처분해야 합니다.
한창 자랄 시기인 벼는 윗부분만 간신히 물 밖으로 나왔습니다.
물이 빠지더라도 병해충에 취약해 수확량 감소는 필연적입니다.
[현도원/벼 재배 농민 : "금방 빠지면 괜찮은데 장기간 (물이) 있으면 벼가 안 좋거든요. (끝장)나는 거죠."]
물이 덜 빠진 축사에선 소들이 이리저리 몰려다니며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급한 대로 고랑을 내 물을 빼내려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김영주/축산 농민 : "(축사에) 물 들어갔으니까 빨리 이걸 치워 내야 되는데 어떻게 복구해서 자리를, 얘들 편하게 해 줘야 할 텐데 문제네…."]
이번 비로 충남에서만 농경지 1억 6천만 제곱미터, 축구장 2만여 개 규모가 물에 잠겼고 닭을 포함해 가축 75만여 마리도 폐사했습니다.
복구 작업이 시급하지만 고령층이 대부분인 농촌에선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안종기/벼 재배 농민 : "맨날 이거 혼자 심고 했는데 물이 와 가지고 논마다 전부 물이 찼으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네요."]
기록적인 폭우가 휩쓸고 간 곳마다 농민들의 가슴에도 큰 생채기가 났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시설하우스 등에서 키우던 농작물 피해도 상당합니다.
농민들은 못 쓰게 된 작물이 썩어가는 걸 속수무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빗물이 들어찼던 하우스 내부가 온통 진흙투성이입니다.
출하를 코앞에 둔 멜론이 매달려 있지만, 물에 잠겼던 아랫부분부터 썩기 시작했습니다.
[홍석길/멜론 재배 농민 : "수박들이 전부 물에 차고 멜론, 열무 다 물이 차 가지고 지금 쓸 게 하나도 없어요."]
제철인 수박도 갈라지고 터져 성한 걸 찾기 힘듭니다.
수박이나 멜론 같은 작물은 한번 물이 들어차면 사실상 모두 폐기 처분해야 합니다.
한창 자랄 시기인 벼는 윗부분만 간신히 물 밖으로 나왔습니다.
물이 빠지더라도 병해충에 취약해 수확량 감소는 필연적입니다.
[현도원/벼 재배 농민 : "금방 빠지면 괜찮은데 장기간 (물이) 있으면 벼가 안 좋거든요. (끝장)나는 거죠."]
물이 덜 빠진 축사에선 소들이 이리저리 몰려다니며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급한 대로 고랑을 내 물을 빼내려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김영주/축산 농민 : "(축사에) 물 들어갔으니까 빨리 이걸 치워 내야 되는데 어떻게 복구해서 자리를, 얘들 편하게 해 줘야 할 텐데 문제네…."]
이번 비로 충남에서만 농경지 1억 6천만 제곱미터, 축구장 2만여 개 규모가 물에 잠겼고 닭을 포함해 가축 75만여 마리도 폐사했습니다.
복구 작업이 시급하지만 고령층이 대부분인 농촌에선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안종기/벼 재배 농민 : "맨날 이거 혼자 심고 했는데 물이 와 가지고 논마다 전부 물이 찼으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네요."]
기록적인 폭우가 휩쓸고 간 곳마다 농민들의 가슴에도 큰 생채기가 났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확 코앞인데”…기록적 폭우에 생채기 난 농촌
-
- 입력 2025-07-18 21:06:18
- 수정2025-07-18 22:10:21

[앵커]
시설하우스 등에서 키우던 농작물 피해도 상당합니다.
농민들은 못 쓰게 된 작물이 썩어가는 걸 속수무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빗물이 들어찼던 하우스 내부가 온통 진흙투성이입니다.
출하를 코앞에 둔 멜론이 매달려 있지만, 물에 잠겼던 아랫부분부터 썩기 시작했습니다.
[홍석길/멜론 재배 농민 : "수박들이 전부 물에 차고 멜론, 열무 다 물이 차 가지고 지금 쓸 게 하나도 없어요."]
제철인 수박도 갈라지고 터져 성한 걸 찾기 힘듭니다.
수박이나 멜론 같은 작물은 한번 물이 들어차면 사실상 모두 폐기 처분해야 합니다.
한창 자랄 시기인 벼는 윗부분만 간신히 물 밖으로 나왔습니다.
물이 빠지더라도 병해충에 취약해 수확량 감소는 필연적입니다.
[현도원/벼 재배 농민 : "금방 빠지면 괜찮은데 장기간 (물이) 있으면 벼가 안 좋거든요. (끝장)나는 거죠."]
물이 덜 빠진 축사에선 소들이 이리저리 몰려다니며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급한 대로 고랑을 내 물을 빼내려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김영주/축산 농민 : "(축사에) 물 들어갔으니까 빨리 이걸 치워 내야 되는데 어떻게 복구해서 자리를, 얘들 편하게 해 줘야 할 텐데 문제네…."]
이번 비로 충남에서만 농경지 1억 6천만 제곱미터, 축구장 2만여 개 규모가 물에 잠겼고 닭을 포함해 가축 75만여 마리도 폐사했습니다.
복구 작업이 시급하지만 고령층이 대부분인 농촌에선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안종기/벼 재배 농민 : "맨날 이거 혼자 심고 했는데 물이 와 가지고 논마다 전부 물이 찼으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네요."]
기록적인 폭우가 휩쓸고 간 곳마다 농민들의 가슴에도 큰 생채기가 났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시설하우스 등에서 키우던 농작물 피해도 상당합니다.
농민들은 못 쓰게 된 작물이 썩어가는 걸 속수무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상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빗물이 들어찼던 하우스 내부가 온통 진흙투성이입니다.
출하를 코앞에 둔 멜론이 매달려 있지만, 물에 잠겼던 아랫부분부터 썩기 시작했습니다.
[홍석길/멜론 재배 농민 : "수박들이 전부 물에 차고 멜론, 열무 다 물이 차 가지고 지금 쓸 게 하나도 없어요."]
제철인 수박도 갈라지고 터져 성한 걸 찾기 힘듭니다.
수박이나 멜론 같은 작물은 한번 물이 들어차면 사실상 모두 폐기 처분해야 합니다.
한창 자랄 시기인 벼는 윗부분만 간신히 물 밖으로 나왔습니다.
물이 빠지더라도 병해충에 취약해 수확량 감소는 필연적입니다.
[현도원/벼 재배 농민 : "금방 빠지면 괜찮은데 장기간 (물이) 있으면 벼가 안 좋거든요. (끝장)나는 거죠."]
물이 덜 빠진 축사에선 소들이 이리저리 몰려다니며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급한 대로 고랑을 내 물을 빼내려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김영주/축산 농민 : "(축사에) 물 들어갔으니까 빨리 이걸 치워 내야 되는데 어떻게 복구해서 자리를, 얘들 편하게 해 줘야 할 텐데 문제네…."]
이번 비로 충남에서만 농경지 1억 6천만 제곱미터, 축구장 2만여 개 규모가 물에 잠겼고 닭을 포함해 가축 75만여 마리도 폐사했습니다.
복구 작업이 시급하지만 고령층이 대부분인 농촌에선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안종기/벼 재배 농민 : "맨날 이거 혼자 심고 했는데 물이 와 가지고 논마다 전부 물이 찼으니까 어떻게 할 방법이 없네요."]
기록적인 폭우가 휩쓸고 간 곳마다 농민들의 가슴에도 큰 생채기가 났습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
백상현 기자 bsh@kbs.co.kr
백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