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발 반도체 대호황…“인재·전기 확보 정부 나서야”
입력 2025.07.11 (19:17)
수정 2025.07.11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AI 혁명으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한 덕인데, 이 호황이 어디까지 갈지, 황현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AI 혁명으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한 덕인데, 이 호황이 어디까지 갈지, 황현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발 반도체 대호황…“인재·전기 확보 정부 나서야”
-
- 입력 2025-07-11 19:17:57
- 수정2025-07-11 22:06:27

[앵커]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AI 혁명으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한 덕인데, 이 호황이 어디까지 갈지, 황현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트럼프 발 관세 전쟁에도 수출은 선방하고 있습니다.
어제(10일)까지 누적 수출액,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었는데요.
1등 공신은 반도체입니다.
인공지능, AI 혁명으로 반도체 수요가 폭발한 덕인데, 이 호황이 어디까지 갈지, 황현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하나로통신 광고/1999년 : "속도가 생명인 인터넷 시대. 나는 ADSL로 바꿨다."]
[메가패스 광고/2000년 : "유쾌 상쾌 통쾌, 대한민국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속도 경쟁을 불러온 2000년 '닷컴 혁명'.
인프라가 깔리자 전에 없던 사업, 고용이 쏟아졌습니다.
[KBS 뉴스9/2001년 : "전국에 2만 개가 넘게 생긴 피시방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2000년 : "임성춘 선수가 GG(포기)를 선언하고 맙니다. 임요환 선수의 승리입니다."]
한국 주력인 D램 수요도 폭발합니다.
2000년대 첫 반도체 대호황은 약 46개월, 거의 4년 이어집니다.
스마트폰, 코로나19 등 2년 안팎의 짧은 호황이 반복됐고, 지금은 6번째 'AI 혁명' 발 호황입니다.
'AI 혁명'은 '닷컴 혁명'과 닮았습니다.
그때 서버용 메모리 붐이었다면, 지금은 고대역폭메모리, HBM 붐입니다.
인프라를 장악하면 시장을 지배하는 '승자독식'도, 소비자가 아닌 기업이 수요를 견인하는 점도 같습니다.
[임웅지/한국은행 국제무역팀 차장 : "AI 인프라 투자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AI) 기기의 수요도 많이 늘어나면서 확장 기간이 길 수 있겠다…."]
HBM 매출은 눈덩이처럼 불어, 4년 새 거의 20배 늘 거로 전망됩니다.
이 흐름을 제대로 올라타려면 정부 지원이 필수라는 게 한은의 주문.
최우선 과제로 '인재'와 '전기'를 꼽았습니다.
AI 인력이 한국을 계속 떠나며 세계 3번째 '두뇌 적자국'입니다.
[김동환/AI 벤처기업 대표 : "해외파는 물론이고 국내파들도 지금 해외로 바로 가는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고 있고요."]
'전기 먹는 하마'인 AI에 전력을 안정 공급하는 것도 정부 몫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박미주 김지훈
-
-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