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비단벌레…드디어 풀린 ‘우화의 비밀’

입력 2025.07.10 (19:34) 수정 2025.07.10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천연기념물인 비단벌레를 아십니까?

영롱한 색과 빛으로 신라시대 왕관 장식에 쓰일 정도로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하는데요.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과정이 베일에 싸여 있었는데, 한 곤충연구소의 카메라에 국내 최초로 포착됐습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얀 애벌레가 온몸을 떨며 흰 껍질을 벗으려고 안간힘을 씁니다.

머리 쪽이 어느덧 영롱한 초록빛과 붉은색으로 빛납니다.

한참을 분주하게 움직이더니, 6개 다리가 같은 색이 됩니다.

큰 날개를 덮고 있던 흰 막까지 벗어버리자, 온몸이 푸르고 붉은 광채로 빛납니다.

꼬박 이틀이 걸렸습니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1급인 비단벌레가 완성되는 모습입니다.

국내에선 처음 포착된 겁니다.

비단벌레는 나무 속에서 애벌레와 번데기 상태로 수년을 지나고 다 자라야 밖으로 나옵니다.

[이대암/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장 : "특히 천공성 곤충들은 (나무에) 들어가서 입대는 동시에 하는데 제대 날짜가 다 달라요. 그래서 빠른 애들은 3년 만에 나올 수도 있고."]

이 때문에 생육이나 우화 과정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곤충연구센터는 5년 넘는 연구 끝에 비단벌레 인공 증식에 성공하며 대량 증식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연구소에서 나고 자란 비단벌레는 수명을 다한 뒤 이곳에 보존돼 있습니다.

이 표본들은 앞으로 문화재 복원 연구 등에 쓰일 예정입니다.

신라시대 귀족의 장신구와 말안장 등을 장식하는 데 쓰이기도 했던 비단벌레.

증식이 원활히 이뤄진다면 유물 복원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화면제공: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멸종위기종 비단벌레…드디어 풀린 ‘우화의 비밀’
    • 입력 2025-07-10 19:34:54
    • 수정2025-07-10 19:44:42
    뉴스 7
[앵커]

천연기념물인 비단벌레를 아십니까?

영롱한 색과 빛으로 신라시대 왕관 장식에 쓰일 정도로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하는데요.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과정이 베일에 싸여 있었는데, 한 곤충연구소의 카메라에 국내 최초로 포착됐습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얀 애벌레가 온몸을 떨며 흰 껍질을 벗으려고 안간힘을 씁니다.

머리 쪽이 어느덧 영롱한 초록빛과 붉은색으로 빛납니다.

한참을 분주하게 움직이더니, 6개 다리가 같은 색이 됩니다.

큰 날개를 덮고 있던 흰 막까지 벗어버리자, 온몸이 푸르고 붉은 광채로 빛납니다.

꼬박 이틀이 걸렸습니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1급인 비단벌레가 완성되는 모습입니다.

국내에선 처음 포착된 겁니다.

비단벌레는 나무 속에서 애벌레와 번데기 상태로 수년을 지나고 다 자라야 밖으로 나옵니다.

[이대암/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장 : "특히 천공성 곤충들은 (나무에) 들어가서 입대는 동시에 하는데 제대 날짜가 다 달라요. 그래서 빠른 애들은 3년 만에 나올 수도 있고."]

이 때문에 생육이나 우화 과정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곤충연구센터는 5년 넘는 연구 끝에 비단벌레 인공 증식에 성공하며 대량 증식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연구소에서 나고 자란 비단벌레는 수명을 다한 뒤 이곳에 보존돼 있습니다.

이 표본들은 앞으로 문화재 복원 연구 등에 쓰일 예정입니다.

신라시대 귀족의 장신구와 말안장 등을 장식하는 데 쓰이기도 했던 비단벌레.

증식이 원활히 이뤄진다면 유물 복원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화면제공: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