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즐겨요…‘춘천인형극제’ 개막
입력 2025.05.23 (22:42)
수정 2025.05.23 (22: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춘천의 대표 축제인 춘천인형극제가 오늘(23일) 막을 올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제인형극연맹 세계총회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려, 더 풍성한 볼거리가 마련됩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깜깜한 무대 위, 바구니에서 작은 헝겊 조각이 나옵니다.
인형극 배우의 손을 만나더니, 어린아이로 변신합니다.
마술을 부린 듯 평범한 물건이 생명력을 얻는 기발한 모습.
어린이 관객들은 웃음을 터뜨립니다.
'2025 춘천세계인형극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주제는 '경계를 넘나드는 인형'.
인형극으로 문화와 세대 경계를 뛰어넘자는 취집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귀여운 동물을 소재로 한 공연부터 어른만을 위한 특별 공연도 있습니다.
도도새와 소년의 모험을 주제로 유수의 국제 연극제를 휩쓴 수상작까지 100여 편을 다채롭게 선보입니다.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퍼레이드'와 '퍼펫 카니발'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립니다.
[홍용민/춘천인형극제 사무국장 : "대규모 좀 큰 공연을 좀 많이 가져왔어요. 오프 인형극, 초청받지 못했지만 실험적이고 장르적 확장성을 띤 인형극을."]
특히 이 기간 유네스코 산하 인형극 국제 기구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립니다.
세계 50여 개국에서 공연자 등이 모여 인형극 발전 방향을 논의합니다.
[캐런 스미스/유니마본부 회장 : "춘천은 적당한 규모의 도시로 방문객들이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면 도시 분위기와 지역 특색을 느끼기 좋습니다."]
춘천시는 두 행사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20만 명에 이를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육동한/춘천시장 : "세계 인형극 네트워크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고 있고 또 그런 의지를 가지고 더 나가고자 합니다."]
뒤이어 개막하는 춘천마임축제와도 어우러져, 즐길거리는 더욱 풍성해질 전망입니다.
춘천인형극제는 다음 달(6월) 1일까지 열흘간 계속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춘천의 대표 축제인 춘천인형극제가 오늘(23일) 막을 올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제인형극연맹 세계총회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려, 더 풍성한 볼거리가 마련됩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깜깜한 무대 위, 바구니에서 작은 헝겊 조각이 나옵니다.
인형극 배우의 손을 만나더니, 어린아이로 변신합니다.
마술을 부린 듯 평범한 물건이 생명력을 얻는 기발한 모습.
어린이 관객들은 웃음을 터뜨립니다.
'2025 춘천세계인형극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주제는 '경계를 넘나드는 인형'.
인형극으로 문화와 세대 경계를 뛰어넘자는 취집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귀여운 동물을 소재로 한 공연부터 어른만을 위한 특별 공연도 있습니다.
도도새와 소년의 모험을 주제로 유수의 국제 연극제를 휩쓴 수상작까지 100여 편을 다채롭게 선보입니다.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퍼레이드'와 '퍼펫 카니발'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립니다.
[홍용민/춘천인형극제 사무국장 : "대규모 좀 큰 공연을 좀 많이 가져왔어요. 오프 인형극, 초청받지 못했지만 실험적이고 장르적 확장성을 띤 인형극을."]
특히 이 기간 유네스코 산하 인형극 국제 기구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립니다.
세계 50여 개국에서 공연자 등이 모여 인형극 발전 방향을 논의합니다.
[캐런 스미스/유니마본부 회장 : "춘천은 적당한 규모의 도시로 방문객들이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면 도시 분위기와 지역 특색을 느끼기 좋습니다."]
춘천시는 두 행사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20만 명에 이를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육동한/춘천시장 : "세계 인형극 네트워크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고 있고 또 그런 의지를 가지고 더 나가고자 합니다."]
뒤이어 개막하는 춘천마임축제와도 어우러져, 즐길거리는 더욱 풍성해질 전망입니다.
춘천인형극제는 다음 달(6월) 1일까지 열흘간 계속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즐겨요…‘춘천인형극제’ 개막
-
- 입력 2025-05-23 22:42:32
- 수정2025-05-23 22:56:44

[앵커]
춘천의 대표 축제인 춘천인형극제가 오늘(23일) 막을 올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제인형극연맹 세계총회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려, 더 풍성한 볼거리가 마련됩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깜깜한 무대 위, 바구니에서 작은 헝겊 조각이 나옵니다.
인형극 배우의 손을 만나더니, 어린아이로 변신합니다.
마술을 부린 듯 평범한 물건이 생명력을 얻는 기발한 모습.
어린이 관객들은 웃음을 터뜨립니다.
'2025 춘천세계인형극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주제는 '경계를 넘나드는 인형'.
인형극으로 문화와 세대 경계를 뛰어넘자는 취집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귀여운 동물을 소재로 한 공연부터 어른만을 위한 특별 공연도 있습니다.
도도새와 소년의 모험을 주제로 유수의 국제 연극제를 휩쓴 수상작까지 100여 편을 다채롭게 선보입니다.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퍼레이드'와 '퍼펫 카니발'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립니다.
[홍용민/춘천인형극제 사무국장 : "대규모 좀 큰 공연을 좀 많이 가져왔어요. 오프 인형극, 초청받지 못했지만 실험적이고 장르적 확장성을 띤 인형극을."]
특히 이 기간 유네스코 산하 인형극 국제 기구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립니다.
세계 50여 개국에서 공연자 등이 모여 인형극 발전 방향을 논의합니다.
[캐런 스미스/유니마본부 회장 : "춘천은 적당한 규모의 도시로 방문객들이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면 도시 분위기와 지역 특색을 느끼기 좋습니다."]
춘천시는 두 행사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20만 명에 이를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육동한/춘천시장 : "세계 인형극 네트워크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고 있고 또 그런 의지를 가지고 더 나가고자 합니다."]
뒤이어 개막하는 춘천마임축제와도 어우러져, 즐길거리는 더욱 풍성해질 전망입니다.
춘천인형극제는 다음 달(6월) 1일까지 열흘간 계속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춘천의 대표 축제인 춘천인형극제가 오늘(23일) 막을 올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제인형극연맹 세계총회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려, 더 풍성한 볼거리가 마련됩니다.
임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깜깜한 무대 위, 바구니에서 작은 헝겊 조각이 나옵니다.
인형극 배우의 손을 만나더니, 어린아이로 변신합니다.
마술을 부린 듯 평범한 물건이 생명력을 얻는 기발한 모습.
어린이 관객들은 웃음을 터뜨립니다.
'2025 춘천세계인형극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주제는 '경계를 넘나드는 인형'.
인형극으로 문화와 세대 경계를 뛰어넘자는 취집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귀여운 동물을 소재로 한 공연부터 어른만을 위한 특별 공연도 있습니다.
도도새와 소년의 모험을 주제로 유수의 국제 연극제를 휩쓴 수상작까지 100여 편을 다채롭게 선보입니다.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퍼레이드'와 '퍼펫 카니발'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립니다.
[홍용민/춘천인형극제 사무국장 : "대규모 좀 큰 공연을 좀 많이 가져왔어요. 오프 인형극, 초청받지 못했지만 실험적이고 장르적 확장성을 띤 인형극을."]
특히 이 기간 유네스코 산하 인형극 국제 기구인 '유니마총회'가 함께 열립니다.
세계 50여 개국에서 공연자 등이 모여 인형극 발전 방향을 논의합니다.
[캐런 스미스/유니마본부 회장 : "춘천은 적당한 규모의 도시로 방문객들이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면 도시 분위기와 지역 특색을 느끼기 좋습니다."]
춘천시는 두 행사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20만 명에 이를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육동한/춘천시장 : "세계 인형극 네트워크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고 있고 또 그런 의지를 가지고 더 나가고자 합니다."]
뒤이어 개막하는 춘천마임축제와도 어우러져, 즐길거리는 더욱 풍성해질 전망입니다.
춘천인형극제는 다음 달(6월) 1일까지 열흘간 계속됩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
임서영 기자 mercy0@kbs.co.kr
임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