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에 묵묵부답…“문 부수고 들어가겠다” 증언 이어져

입력 2025.05.19 (21:27) 수정 2025.05.19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편, 오늘(19일) 진행된 내란 우두머리 혐의 4차 공판에도 윤 전 대통령은 아무 말 없이 법정으로 들어갔습니다.

오늘 공판에선 비상계엄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통화가 쟁점이 됐는데요.

곽 전 사령관이 여러 차례 독촉 전화를 받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겠다'고 복창 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잡니다.

[리포트]

두 번째 법원 포토라인에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은 묵묵부답이었습니다.

국민의힘 탈당 등에 대한 질문은 변호인에게 넘겼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 : "(탈당 관련해서 직접 밝힐 말씀 없으십니까? 재판 진행에 대해서 한 말씀 해 주시죠.) 변호인이 얘기하시죠."]

4차 공판에서는 비상계엄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바로 옆자리에 있던 박정환 준장의 증인 신문이 이뤄졌습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여러 차례 독촉 전화를 받았다며, 곽 전 사령관이 알겠다고 복창하며 '문을 부수고라도 들어가겠다'라는 말을 했다고 증언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지난 2월 헌재 탄핵심판 당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비슷한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전사령관/지난 2월/6차 변론 :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거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

다만 박 준장은 당시 통화 상대는 모른다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준장이 당시 상황을 기록한 메모도 공개됐습니다.

작성 경위에 대해선 "엄청난 사건이었고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중요한 워딩들은 기록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추가 기소가 이뤄진 윤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도 양측 진술이 진행되는 등 재판이 본격화했습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전후 국민의힘 인사 등과 통화했다는 보도에 대해, 윤 전 대통령 측은 "재판에 영향을 주거나 망신 주기 일환"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질문에 묵묵부답…“문 부수고 들어가겠다” 증언 이어져
    • 입력 2025-05-19 21:27:47
    • 수정2025-05-19 22:04:19
    뉴스 9
[앵커]

한편, 오늘(19일) 진행된 내란 우두머리 혐의 4차 공판에도 윤 전 대통령은 아무 말 없이 법정으로 들어갔습니다.

오늘 공판에선 비상계엄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통화가 쟁점이 됐는데요.

곽 전 사령관이 여러 차례 독촉 전화를 받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겠다'고 복창 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이호준 기잡니다.

[리포트]

두 번째 법원 포토라인에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은 묵묵부답이었습니다.

국민의힘 탈당 등에 대한 질문은 변호인에게 넘겼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 : "(탈당 관련해서 직접 밝힐 말씀 없으십니까? 재판 진행에 대해서 한 말씀 해 주시죠.) 변호인이 얘기하시죠."]

4차 공판에서는 비상계엄 당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바로 옆자리에 있던 박정환 준장의 증인 신문이 이뤄졌습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여러 차례 독촉 전화를 받았다며, 곽 전 사령관이 알겠다고 복창하며 '문을 부수고라도 들어가겠다'라는 말을 했다고 증언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지난 2월 헌재 탄핵심판 당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비슷한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곽종근/전 특전사령관/지난 2월/6차 변론 :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거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

다만 박 준장은 당시 통화 상대는 모른다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준장이 당시 상황을 기록한 메모도 공개됐습니다.

작성 경위에 대해선 "엄청난 사건이었고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중요한 워딩들은 기록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추가 기소가 이뤄진 윤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도 양측 진술이 진행되는 등 재판이 본격화했습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전후 국민의힘 인사 등과 통화했다는 보도에 대해, 윤 전 대통령 측은 "재판에 영향을 주거나 망신 주기 일환"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