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알몸 김치’ 벌써 잊었나…중국산 김치 수입 급증 무슨 일?

입력 2025.05.19 (18:18) 수정 2025.05.19 (1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갓 지은 흰쌀밥, 라면, 고구마, 돼지고기 수육까지.

이 음식들의 공통점, 네, 뭔가와 같이 먹게 된다는 거죠.

김치 없이 입안에 넣긴 뭔가 허전합니다.

[정혁/모델/KBS 살림하는 남자들 : "라면 먹으려면 역시, 역시 뭐다? 김치지!"]

갓 담은 김치에 돼지고기 수육 한 점 얹어 먹으면 세상 부러울 게 없죠.

[류수영/배우/KBS 'K-푸드쇼 맛의 나라' : "김치 아삭거리는 소리와 육즙 터지는 소리가 같이 나니까 내가 현기증 나려고 그래."]

한국인들에게 김치는 모든 음식의 시작이자, 기본입니다.

한국인의 식생활과 정서를 상징하는 음식이죠. 일반인, 유명인 할 거 없습니다.

[아이유/가수 : "요즘에 꽂혀있는 음식. 김치지. 제가 진짜 속이 쓰리다는 게 느껴지는데도 김치를 (먹어요). 전 밥 없이도 김치를 먹잖아요."]

김치를 향한 사랑, 비단 한국인뿐만 아닙니다.

[퐁트나 트리스텅/프랑스인/KBS 뉴스9/2024년 6월 : "평상시에도 김치를 먹는 편입니다. 아내와 몇년 전부터 한국 음식을 알아가기 시작했고 김치를 저희가 먹는 음식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이달 들어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김치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하는 기사를 내기도 했죠.

그런데, 이 사실 아시는지요?

정작 밖에서 음식을 사 먹을 때 나오는 건, 많은 경우 국산 김치가 아닙니다.

지난달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 가격은 5,442원.

배추 생산이 부진해 자연스레 배춧값이 오르면서 작년보다 24%, 1,000원 넘게 올랐습니다.

이러다 보니 김치 수입이 급증했는데요.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니, 올 1분기 수입 금액은 약 670억 원.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6.7% 늘었는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그리고 이런 수입 김치, 대부분은 중국산이죠.

고물가로 식료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중국산 김치를 쓰는 식당은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중국산 김치 가격, 국산 김치의 10%~30% 수준에 불과하죠.

[식당 주인/음성변조/2022년 11월 : "(김치 가격이) 올라가는 것 때문에 비싸잖아요. 그래서 전에 (국내산) 좀 썼다가…."]

중국산 김치는 과거 여러 차례 위생 문제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2020년 중국산 건고추에서 쥐 떼가 발견됐고, 2021년에는 김치 공장에서 알몸 상태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공개되며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졌는데요.

배춧값 폭등으로 중국산 김치 의존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농산물 가격 안정 대책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알몸 김치’ 벌써 잊었나…중국산 김치 수입 급증 무슨 일?
    • 입력 2025-05-19 18:18:00
    • 수정2025-05-19 18:41:46
    경제콘서트
갓 지은 흰쌀밥, 라면, 고구마, 돼지고기 수육까지.

이 음식들의 공통점, 네, 뭔가와 같이 먹게 된다는 거죠.

김치 없이 입안에 넣긴 뭔가 허전합니다.

[정혁/모델/KBS 살림하는 남자들 : "라면 먹으려면 역시, 역시 뭐다? 김치지!"]

갓 담은 김치에 돼지고기 수육 한 점 얹어 먹으면 세상 부러울 게 없죠.

[류수영/배우/KBS 'K-푸드쇼 맛의 나라' : "김치 아삭거리는 소리와 육즙 터지는 소리가 같이 나니까 내가 현기증 나려고 그래."]

한국인들에게 김치는 모든 음식의 시작이자, 기본입니다.

한국인의 식생활과 정서를 상징하는 음식이죠. 일반인, 유명인 할 거 없습니다.

[아이유/가수 : "요즘에 꽂혀있는 음식. 김치지. 제가 진짜 속이 쓰리다는 게 느껴지는데도 김치를 (먹어요). 전 밥 없이도 김치를 먹잖아요."]

김치를 향한 사랑, 비단 한국인뿐만 아닙니다.

[퐁트나 트리스텅/프랑스인/KBS 뉴스9/2024년 6월 : "평상시에도 김치를 먹는 편입니다. 아내와 몇년 전부터 한국 음식을 알아가기 시작했고 김치를 저희가 먹는 음식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이달 들어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김치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하는 기사를 내기도 했죠.

그런데, 이 사실 아시는지요?

정작 밖에서 음식을 사 먹을 때 나오는 건, 많은 경우 국산 김치가 아닙니다.

지난달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 가격은 5,442원.

배추 생산이 부진해 자연스레 배춧값이 오르면서 작년보다 24%, 1,000원 넘게 올랐습니다.

이러다 보니 김치 수입이 급증했는데요.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니, 올 1분기 수입 금액은 약 670억 원.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6.7% 늘었는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그리고 이런 수입 김치, 대부분은 중국산이죠.

고물가로 식료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중국산 김치를 쓰는 식당은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중국산 김치 가격, 국산 김치의 10%~30% 수준에 불과하죠.

[식당 주인/음성변조/2022년 11월 : "(김치 가격이) 올라가는 것 때문에 비싸잖아요. 그래서 전에 (국내산) 좀 썼다가…."]

중국산 김치는 과거 여러 차례 위생 문제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2020년 중국산 건고추에서 쥐 떼가 발견됐고, 2021년에는 김치 공장에서 알몸 상태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공개되며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졌는데요.

배춧값 폭등으로 중국산 김치 의존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농산물 가격 안정 대책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이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