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궐위 속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거행
입력 2025.05.18 (22:24)
수정 2025.05.18 (23: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8일)로 5·18 민주화운동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1980년 그날,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입에 올릴 수 조차 없던 시절을 지나 특별법이 만들어졌고, 국가기념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날의 민주 투사들이 글과 노래로 되살아난 오늘 기념식 현장, 허재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글과 소리로, 기억하고 추모하자는 메시지가 담겼습니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모티브가 된 고 문재학 열사,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인 고 윤상원 열사 등 오월 영령을 기리는 특별 영상이 상영됐습니다.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정부 주관 공식 행사인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입니다."]
기념식 직후 5·18 기념재단은 무대 옆에 군인이 배치되는 등 계엄을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었다며 적절치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군인은 주요 인사의 경호 인력이고, 연출도 예년과 비슷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탄핵 과정에서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했던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시민단체 반대에 부딪혀 결국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대선을 보름 앞둔 시점에서 이번 기념식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석했고, 전날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불참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영상편집:이두형
오늘(18일)로 5·18 민주화운동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1980년 그날,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입에 올릴 수 조차 없던 시절을 지나 특별법이 만들어졌고, 국가기념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날의 민주 투사들이 글과 노래로 되살아난 오늘 기념식 현장, 허재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글과 소리로, 기억하고 추모하자는 메시지가 담겼습니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모티브가 된 고 문재학 열사,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인 고 윤상원 열사 등 오월 영령을 기리는 특별 영상이 상영됐습니다.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정부 주관 공식 행사인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입니다."]
기념식 직후 5·18 기념재단은 무대 옆에 군인이 배치되는 등 계엄을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었다며 적절치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군인은 주요 인사의 경호 인력이고, 연출도 예년과 비슷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탄핵 과정에서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했던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시민단체 반대에 부딪혀 결국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대선을 보름 앞둔 시점에서 이번 기념식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석했고, 전날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불참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영상편집:이두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통령 궐위 속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거행
-
- 입력 2025-05-18 22:24:01
- 수정2025-05-18 23:06:35

[앵커]
오늘(18일)로 5·18 민주화운동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1980년 그날,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입에 올릴 수 조차 없던 시절을 지나 특별법이 만들어졌고, 국가기념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날의 민주 투사들이 글과 노래로 되살아난 오늘 기념식 현장, 허재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글과 소리로, 기억하고 추모하자는 메시지가 담겼습니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모티브가 된 고 문재학 열사,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인 고 윤상원 열사 등 오월 영령을 기리는 특별 영상이 상영됐습니다.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정부 주관 공식 행사인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입니다."]
기념식 직후 5·18 기념재단은 무대 옆에 군인이 배치되는 등 계엄을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었다며 적절치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군인은 주요 인사의 경호 인력이고, 연출도 예년과 비슷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탄핵 과정에서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했던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시민단체 반대에 부딪혀 결국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대선을 보름 앞둔 시점에서 이번 기념식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석했고, 전날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불참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영상편집:이두형
오늘(18일)로 5·18 민주화운동이 45주년을 맞았습니다.
1980년 그날,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입에 올릴 수 조차 없던 시절을 지나 특별법이 만들어졌고, 국가기념일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날의 민주 투사들이 글과 노래로 되살아난 오늘 기념식 현장, 허재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글과 소리로, 기억하고 추모하자는 메시지가 담겼습니다.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모티브가 된 고 문재학 열사,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인 고 윤상원 열사 등 오월 영령을 기리는 특별 영상이 상영됐습니다.
대통령 파면 이후 처음 열린 정부 주관 공식 행사인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했습니다.
[이주호/대통령 권한대행 :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입니다."]
기념식 직후 5·18 기념재단은 무대 옆에 군인이 배치되는 등 계엄을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었다며 적절치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군인은 주요 인사의 경호 인력이고, 연출도 예년과 비슷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탄핵 과정에서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했던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시민단체 반대에 부딪혀 결국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대선을 보름 앞둔 시점에서 이번 기념식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가 참석했고, 전날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불참했습니다.
KBS 뉴스 허재희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영상편집:이두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