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쉬인’, 미 관세 압박에 베트남에 대규모 창고 임대
입력 2025.05.16 (13:10)
수정 2025.05.16 (13: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온라인 패스트패션 기업 쉬인이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베트남에서 대규모 창고를 임대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현지 시각 16일 보도했습니다.
쉬인은 베트남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찌민 인근에 약 15만㎡ 넓이 산업 용지를 임대하기로 했다고 소식통 2명이 전했습니다.
쉬인은 이곳에 축구장 약 26개 크기의 대형 창고를 마련하고 나아가 베트남 남부에 추가 보관 공간을 임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중국 제조업체들이 베트남에 공장을 세우면서 중국 남부에 있는 쉬인의 기존 공급업체들이 베트남으로 주문을 빼앗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간 판매 제품을 거의 전적으로 중국 내 공장에서 조달해 온 쉬인은 터키와 브라질에서 일부 제품을 공급받을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어 쉬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공급망 설루션 회사 ‘그로스 카탈리스트 그룹’의 마니쉬 카푸르 최고경영자(CEO)는 “쉬인이 다각화하지 않으면 위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을 통해 제품 원산지를 바꿔치기해 미국에 우회 수출을 한다면서 베트남에 이를 단속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당국도 지난달부터 미국의 요구로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 관리를 부쩍 강화했습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원산지 데이터 검증 등을 개선하고 공장을 실사해 ‘베트남산’ 라벨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등 더 엄격한 절차를 시행 중입니다.
쉬인은 그간 800달러(약 112만 원) 미만 소액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미국의 ‘소액 면세 제도’를 기반으로 미국에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대량 수출해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일부터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고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자 쉬인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다수 상품의 가격을 30∼50%가량 크게 올렸습니다.
또 미국 내 사업 모델을 미국 현지 판매자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120%의 관세를 부과하다가 최근 중국과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해당 관세율을 54%로 낮췄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쉬인은 베트남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찌민 인근에 약 15만㎡ 넓이 산업 용지를 임대하기로 했다고 소식통 2명이 전했습니다.
쉬인은 이곳에 축구장 약 26개 크기의 대형 창고를 마련하고 나아가 베트남 남부에 추가 보관 공간을 임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중국 제조업체들이 베트남에 공장을 세우면서 중국 남부에 있는 쉬인의 기존 공급업체들이 베트남으로 주문을 빼앗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간 판매 제품을 거의 전적으로 중국 내 공장에서 조달해 온 쉬인은 터키와 브라질에서 일부 제품을 공급받을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어 쉬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공급망 설루션 회사 ‘그로스 카탈리스트 그룹’의 마니쉬 카푸르 최고경영자(CEO)는 “쉬인이 다각화하지 않으면 위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을 통해 제품 원산지를 바꿔치기해 미국에 우회 수출을 한다면서 베트남에 이를 단속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당국도 지난달부터 미국의 요구로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 관리를 부쩍 강화했습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원산지 데이터 검증 등을 개선하고 공장을 실사해 ‘베트남산’ 라벨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등 더 엄격한 절차를 시행 중입니다.
쉬인은 그간 800달러(약 112만 원) 미만 소액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미국의 ‘소액 면세 제도’를 기반으로 미국에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대량 수출해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일부터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고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자 쉬인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다수 상품의 가격을 30∼50%가량 크게 올렸습니다.
또 미국 내 사업 모델을 미국 현지 판매자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120%의 관세를 부과하다가 최근 중국과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해당 관세율을 54%로 낮췄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쉬인’, 미 관세 압박에 베트남에 대규모 창고 임대
-
- 입력 2025-05-16 13:10:01
- 수정2025-05-16 13:12:51

중국의 온라인 패스트패션 기업 쉬인이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베트남에서 대규모 창고를 임대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현지 시각 16일 보도했습니다.
쉬인은 베트남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찌민 인근에 약 15만㎡ 넓이 산업 용지를 임대하기로 했다고 소식통 2명이 전했습니다.
쉬인은 이곳에 축구장 약 26개 크기의 대형 창고를 마련하고 나아가 베트남 남부에 추가 보관 공간을 임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중국 제조업체들이 베트남에 공장을 세우면서 중국 남부에 있는 쉬인의 기존 공급업체들이 베트남으로 주문을 빼앗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간 판매 제품을 거의 전적으로 중국 내 공장에서 조달해 온 쉬인은 터키와 브라질에서 일부 제품을 공급받을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어 쉬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공급망 설루션 회사 ‘그로스 카탈리스트 그룹’의 마니쉬 카푸르 최고경영자(CEO)는 “쉬인이 다각화하지 않으면 위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을 통해 제품 원산지를 바꿔치기해 미국에 우회 수출을 한다면서 베트남에 이를 단속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당국도 지난달부터 미국의 요구로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 관리를 부쩍 강화했습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원산지 데이터 검증 등을 개선하고 공장을 실사해 ‘베트남산’ 라벨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등 더 엄격한 절차를 시행 중입니다.
쉬인은 그간 800달러(약 112만 원) 미만 소액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미국의 ‘소액 면세 제도’를 기반으로 미국에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대량 수출해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일부터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고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자 쉬인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다수 상품의 가격을 30∼50%가량 크게 올렸습니다.
또 미국 내 사업 모델을 미국 현지 판매자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120%의 관세를 부과하다가 최근 중국과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해당 관세율을 54%로 낮췄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쉬인은 베트남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찌민 인근에 약 15만㎡ 넓이 산업 용지를 임대하기로 했다고 소식통 2명이 전했습니다.
쉬인은 이곳에 축구장 약 26개 크기의 대형 창고를 마련하고 나아가 베트남 남부에 추가 보관 공간을 임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중국 제조업체들이 베트남에 공장을 세우면서 중국 남부에 있는 쉬인의 기존 공급업체들이 베트남으로 주문을 빼앗기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간 판매 제품을 거의 전적으로 중국 내 공장에서 조달해 온 쉬인은 터키와 브라질에서 일부 제품을 공급받을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어 쉬인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공급망 설루션 회사 ‘그로스 카탈리스트 그룹’의 마니쉬 카푸르 최고경영자(CEO)는 “쉬인이 다각화하지 않으면 위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을 통해 제품 원산지를 바꿔치기해 미국에 우회 수출을 한다면서 베트남에 이를 단속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베트남 당국도 지난달부터 미국의 요구로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 관리를 부쩍 강화했습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원산지 데이터 검증 등을 개선하고 공장을 실사해 ‘베트남산’ 라벨 부착 여부를 확인하는 등 더 엄격한 절차를 시행 중입니다.
쉬인은 그간 800달러(약 112만 원) 미만 소액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미국의 ‘소액 면세 제도’를 기반으로 미국에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대량 수출해왔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일부터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고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자 쉬인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다수 상품의 가격을 30∼50%가량 크게 올렸습니다.
또 미국 내 사업 모델을 미국 현지 판매자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중국발 소액 수입품에 120%의 관세를 부과하다가 최근 중국과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하면서 해당 관세율을 54%로 낮췄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