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폼에 빠진 사람들…중독 벗어나려면?
입력 2025.05.13 (21:43)
수정 2025.05.14 (08: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분 안팎, 짧은 시간에 핵심 정보나 재미를 전달하는 동영상을 뜻하는 '쇼트폼', 이미 SNS에선 대세입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기업들도 마케팅 수단으로 쇼트폼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쇼트폼으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 뇌가 자극적인 쇼트폼 영상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상생활에서 무력감이나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요?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려움 같은 게 있을까요?) 시간 상관없이 계속계속 보게 됐어요."]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전문 기관입니다.
요즘에는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이○○/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조금만 보고 자려고 했거든요. 아침 7시까지 봐서 학교에서 자거나 학교를 아예 안 가거나…."]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유아와 청소년, 성인, 고령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그만큼 중독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이런 점을 알고 있는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수익을 위해 앞다퉈 쇼트폼 사업에 뛰어듭니다.
기업 활동을 마냥 막을 수도 없는 만큼, 일단 이용자의 자제가 선행돼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형석/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1분 안팎, 짧은 시간에 핵심 정보나 재미를 전달하는 동영상을 뜻하는 '쇼트폼', 이미 SNS에선 대세입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기업들도 마케팅 수단으로 쇼트폼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쇼트폼으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 뇌가 자극적인 쇼트폼 영상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상생활에서 무력감이나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요?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려움 같은 게 있을까요?) 시간 상관없이 계속계속 보게 됐어요."]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전문 기관입니다.
요즘에는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이○○/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조금만 보고 자려고 했거든요. 아침 7시까지 봐서 학교에서 자거나 학교를 아예 안 가거나…."]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유아와 청소년, 성인, 고령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그만큼 중독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이런 점을 알고 있는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수익을 위해 앞다퉈 쇼트폼 사업에 뛰어듭니다.
기업 활동을 마냥 막을 수도 없는 만큼, 일단 이용자의 자제가 선행돼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형석/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트폼에 빠진 사람들…중독 벗어나려면?
-
- 입력 2025-05-13 21:43:08
- 수정2025-05-14 08:09:41

[앵커]
1분 안팎, 짧은 시간에 핵심 정보나 재미를 전달하는 동영상을 뜻하는 '쇼트폼', 이미 SNS에선 대세입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기업들도 마케팅 수단으로 쇼트폼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쇼트폼으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 뇌가 자극적인 쇼트폼 영상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상생활에서 무력감이나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요?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려움 같은 게 있을까요?) 시간 상관없이 계속계속 보게 됐어요."]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전문 기관입니다.
요즘에는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이○○/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조금만 보고 자려고 했거든요. 아침 7시까지 봐서 학교에서 자거나 학교를 아예 안 가거나…."]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유아와 청소년, 성인, 고령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그만큼 중독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이런 점을 알고 있는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수익을 위해 앞다퉈 쇼트폼 사업에 뛰어듭니다.
기업 활동을 마냥 막을 수도 없는 만큼, 일단 이용자의 자제가 선행돼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형석/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1분 안팎, 짧은 시간에 핵심 정보나 재미를 전달하는 동영상을 뜻하는 '쇼트폼', 이미 SNS에선 대세입니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어서,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기업들도 마케팅 수단으로 쇼트폼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쇼트폼으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 뇌가 자극적인 쇼트폼 영상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상생활에서 무력감이나 우울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을까요?
김민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려움 같은 게 있을까요?) 시간 상관없이 계속계속 보게 됐어요."]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한 전문 기관입니다.
요즘에는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이○○/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조금만 보고 자려고 했거든요. 아침 7시까지 봐서 학교에서 자거나 학교를 아예 안 가거나…."]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유아와 청소년, 성인, 고령층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그만큼 중독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이런 점을 알고 있는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수익을 위해 앞다퉈 쇼트폼 사업에 뛰어듭니다.
기업 활동을 마냥 막을 수도 없는 만큼, 일단 이용자의 자제가 선행돼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 고형석/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성일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