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 선호도’ 김 47%·한 33%…국힘·무당층은 ‘한덕수’ [여론조사]②

입력 2025.05.09 (21:19) 수정 2025.05.09 (21: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단일화 진통의 당사자인 김문수와 한덕수, 두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돼야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할 땐 김문수 후보란 답이 많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좁히면, 한덕수 후보가 앞섰습니다.

이어서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문수, 한덕수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보는지 물었습니다.

필요하다 48%, 필요하지 않다 39%였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한정하면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0%로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럼 누구로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엔 김문수 47, 한덕수 33%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 따로 떼어 살펴보니, 김문수 33, 한덕수 53%로 결과가 바뀌었습니다.

민주당 지지층에선 김문수 60, 한덕수 13%로 나타났습니다.

각종 현안에 대한 생각도 물었습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해 '잘못된 판결'이다 49%로, '잘된 판결'이다 43%보다 많았습니다.

대법원 판결이 대통령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응답이 64%로 영향을 미쳤다 보다 2배나 많았고, 한덕수 후보가 '개헌 추진 후 3년 뒤 임기를 마치겠다'는 공약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절반을 넘었습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32%로 9%P나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2주 전, 4주 전보다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6일부터 8일까지 사흘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했고, 최종 응답자는 3천 명,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P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최창준 김지훈

〈조사 개요〉
조사 의뢰: KBS
조사 기관: 한국리서치
조사 일시: 2025년 5월6일~5월8일(3일간)
조사 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천 명
조사 방법: 전화 면접 조사
표본 추출: 성·연령·지역으로 층화된 가상번호 내 무작위 추출
응답률: 18.3%
가중치 부여 방식: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 부여 셀가중/2025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표본오차: ±1.8%P(95% 신뢰수준)
(조사 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정수로 표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KBS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BS-한국리서치] 설문지 [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5/20250509_npBAEV.pdf
[KBS-한국리서치] 결과표 [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5/20250509_HOFB2d.pdf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일화 선호도’ 김 47%·한 33%…국힘·무당층은 ‘한덕수’ [여론조사]②
    • 입력 2025-05-09 21:19:45
    • 수정2025-05-09 21:24:47
    뉴스 9
[앵커]

단일화 진통의 당사자인 김문수와 한덕수, 두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돼야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할 땐 김문수 후보란 답이 많았지만,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좁히면, 한덕수 후보가 앞섰습니다.

이어서 이희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문수, 한덕수 후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보는지 물었습니다.

필요하다 48%, 필요하지 않다 39%였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한정하면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0%로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럼 누구로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엔 김문수 47, 한덕수 33%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 따로 떼어 살펴보니, 김문수 33, 한덕수 53%로 결과가 바뀌었습니다.

민주당 지지층에선 김문수 60, 한덕수 13%로 나타났습니다.

각종 현안에 대한 생각도 물었습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해 '잘못된 판결'이다 49%로, '잘된 판결'이다 43%보다 많았습니다.

대법원 판결이 대통령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응답이 64%로 영향을 미쳤다 보다 2배나 많았고, 한덕수 후보가 '개헌 추진 후 3년 뒤 임기를 마치겠다'는 공약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절반을 넘었습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32%로 9%P나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2주 전, 4주 전보다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6일부터 8일까지 사흘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했고, 최종 응답자는 3천 명,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P입니다.

KBS 뉴스 이희연입니다.

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최창준 김지훈

〈조사 개요〉
조사 의뢰: KBS
조사 기관: 한국리서치
조사 일시: 2025년 5월6일~5월8일(3일간)
조사 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천 명
조사 방법: 전화 면접 조사
표본 추출: 성·연령·지역으로 층화된 가상번호 내 무작위 추출
응답률: 18.3%
가중치 부여 방식: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 부여 셀가중/2025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표본오차: ±1.8%P(95% 신뢰수준)
(조사 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정수로 표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KBS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KBS-한국리서치] 설문지 [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5/20250509_npBAEV.pdf
[KBS-한국리서치] 결과표 [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5/20250509_HOFB2d.pdf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