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위협받는 학교…근본 대책은?
입력 2025.04.29 (19:17)
수정 2025.04.29 (2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교 안전 대책을 전반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해야 한단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교사와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은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가 각종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점을 우려합니다.
학생들의 위험 행동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철저히 관리할 전문 인력 확충과 상담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부터 시행되는 '정서·행동 특성 검사'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여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유윤식/충북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그리고 지역 사회가 같이, 학교 공동체가 같이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전담경찰관 보강, 비상벨 확대 설치 등 교내 안전 인력과 시설 확대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형식적인 학교 안전 대책과 관리 부실을 강하게 질타하기도 합니다.
실제, 흉기 난동 피해 학교에도 위급한 상황에 누르는 안전 비상벨이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박현경/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사무처장 : "사실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비상벨을 누르면 누가 달려올 것이며 누가 제지를 한다는 말입니까?"]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3년 새 전국적으로 11%나 늘고 과밀 특수학급도 10%를 웃돌고 있는 상황.
하지만 특수교사는 8% 느는 데 그쳐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도 말합니다.
[임종순/특수교사 : "그런 (위험)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숙지하고 함께 대처해야겠지만, 이런 부분들을 실행시키기에는 특수교사가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고, 학급에서 아이들을 돌보기만도 굉장히 바쁜 실정이거든요."]
이와 함께 위험 학생 관리와 공격 행동 대응법을 제도적으로 정비하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김장헌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교 안전 대책을 전반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해야 한단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교사와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은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가 각종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점을 우려합니다.
학생들의 위험 행동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철저히 관리할 전문 인력 확충과 상담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부터 시행되는 '정서·행동 특성 검사'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여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유윤식/충북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그리고 지역 사회가 같이, 학교 공동체가 같이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전담경찰관 보강, 비상벨 확대 설치 등 교내 안전 인력과 시설 확대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형식적인 학교 안전 대책과 관리 부실을 강하게 질타하기도 합니다.
실제, 흉기 난동 피해 학교에도 위급한 상황에 누르는 안전 비상벨이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박현경/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사무처장 : "사실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비상벨을 누르면 누가 달려올 것이며 누가 제지를 한다는 말입니까?"]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3년 새 전국적으로 11%나 늘고 과밀 특수학급도 10%를 웃돌고 있는 상황.
하지만 특수교사는 8% 느는 데 그쳐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도 말합니다.
[임종순/특수교사 : "그런 (위험)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숙지하고 함께 대처해야겠지만, 이런 부분들을 실행시키기에는 특수교사가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고, 학급에서 아이들을 돌보기만도 굉장히 바쁜 실정이거든요."]
이와 함께 위험 학생 관리와 공격 행동 대응법을 제도적으로 정비하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김장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 위협받는 학교…근본 대책은?
-
- 입력 2025-04-29 19:17:04
- 수정2025-04-29 20:11:08

[앵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교 안전 대책을 전반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해야 한단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교사와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은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가 각종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점을 우려합니다.
학생들의 위험 행동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철저히 관리할 전문 인력 확충과 상담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부터 시행되는 '정서·행동 특성 검사'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여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유윤식/충북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그리고 지역 사회가 같이, 학교 공동체가 같이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전담경찰관 보강, 비상벨 확대 설치 등 교내 안전 인력과 시설 확대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형식적인 학교 안전 대책과 관리 부실을 강하게 질타하기도 합니다.
실제, 흉기 난동 피해 학교에도 위급한 상황에 누르는 안전 비상벨이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박현경/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사무처장 : "사실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비상벨을 누르면 누가 달려올 것이며 누가 제지를 한다는 말입니까?"]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3년 새 전국적으로 11%나 늘고 과밀 특수학급도 10%를 웃돌고 있는 상황.
하지만 특수교사는 8% 느는 데 그쳐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도 말합니다.
[임종순/특수교사 : "그런 (위험)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숙지하고 함께 대처해야겠지만, 이런 부분들을 실행시키기에는 특수교사가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고, 학급에서 아이들을 돌보기만도 굉장히 바쁜 실정이거든요."]
이와 함께 위험 학생 관리와 공격 행동 대응법을 제도적으로 정비하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김장헌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교 안전 대책을 전반적으로 보완하고 강화해야 한단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정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교사와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은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가 각종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점을 우려합니다.
학생들의 위험 행동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철저히 관리할 전문 인력 확충과 상담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부터 시행되는 '정서·행동 특성 검사'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여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유윤식/충북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 그리고 지역 사회가 같이, 학교 공동체가 같이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전담경찰관 보강, 비상벨 확대 설치 등 교내 안전 인력과 시설 확대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다만, 실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형식적인 학교 안전 대책과 관리 부실을 강하게 질타하기도 합니다.
실제, 흉기 난동 피해 학교에도 위급한 상황에 누르는 안전 비상벨이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박현경/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사무처장 : "사실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비상벨을 누르면 누가 달려올 것이며 누가 제지를 한다는 말입니까?"]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3년 새 전국적으로 11%나 늘고 과밀 특수학급도 10%를 웃돌고 있는 상황.
하지만 특수교사는 8% 느는 데 그쳐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도 말합니다.
[임종순/특수교사 : "그런 (위험)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숙지하고 함께 대처해야겠지만, 이런 부분들을 실행시키기에는 특수교사가 굉장히 부족한 실정이고, 학급에서 아이들을 돌보기만도 굉장히 바쁜 실정이거든요."]
이와 함께 위험 학생 관리와 공격 행동 대응법을 제도적으로 정비하지 않으면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김장헌
-
-
정진규 기자 jin9@kbs.co.kr
정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