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도 수술 못받는 HIV 감염인…여전한 차별과 냉대
입력 2025.04.17 (19:20)
수정 2025.04.17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때 공포의 대상이던 '에이즈'는 이젠 제때 치료만 받으면 관리 가능한 질환이 됐습니다.
하지만,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 감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술을 거부당하는 등 기본권 침해가 심각합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HIV 감염인인 70대 A 씨는 석 달 전, 계단에서 떨어져 왼발 뒤꿈치에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정형외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술 날짜를 잡았지만, 정작 당일날 수술이 취소됐습니다.
병원 측이, 내과적 질병을 이유로 수술할 수 없다고 통보한 겁니다.
10여 년 전, 양쪽 고관절 수술을 다른 병원에서 받았었던 A씨는 황당하다는 입장입니다.
[A 씨/HIV 감염인/음성변조 : "HIV가 어떻게 감염되는지 교수도 다 알 텐데 무조건 거부하는 거예요. HIV이기 때문에 거부하는 거예요."]
2022년, 인권위는 HIV 감염인의 손등 골절 수술을 거부한 병원에 대해 '차별'이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성관계나 수혈을 통해서만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청도 의료진이 표준주의 지침만 지키면 HIV 환자 수술에 별도의 장비나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HIV 관련 단체들은 병원의 진료 거부를 규탄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습니다.
진료 거부는 감염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행위라며, 국가인권위 대구사무소에 진정서도 제출했습니다.
[김동은/레드리본인권연대 활동가 : "그저 함께 살아가고 싶습니다.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고, 가족, 주변인으로부터 배제당하지 않으며…."]
국내 HIV 감염인은 1만 9천여 명.
사회적인 낙인은 물론 의료기관의 진료 거부까지, 근거 없는 차별과 냉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한때 공포의 대상이던 '에이즈'는 이젠 제때 치료만 받으면 관리 가능한 질환이 됐습니다.
하지만,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 감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술을 거부당하는 등 기본권 침해가 심각합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HIV 감염인인 70대 A 씨는 석 달 전, 계단에서 떨어져 왼발 뒤꿈치에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정형외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술 날짜를 잡았지만, 정작 당일날 수술이 취소됐습니다.
병원 측이, 내과적 질병을 이유로 수술할 수 없다고 통보한 겁니다.
10여 년 전, 양쪽 고관절 수술을 다른 병원에서 받았었던 A씨는 황당하다는 입장입니다.
[A 씨/HIV 감염인/음성변조 : "HIV가 어떻게 감염되는지 교수도 다 알 텐데 무조건 거부하는 거예요. HIV이기 때문에 거부하는 거예요."]
2022년, 인권위는 HIV 감염인의 손등 골절 수술을 거부한 병원에 대해 '차별'이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성관계나 수혈을 통해서만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청도 의료진이 표준주의 지침만 지키면 HIV 환자 수술에 별도의 장비나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HIV 관련 단체들은 병원의 진료 거부를 규탄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습니다.
진료 거부는 감염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행위라며, 국가인권위 대구사무소에 진정서도 제출했습니다.
[김동은/레드리본인권연대 활동가 : "그저 함께 살아가고 싶습니다.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고, 가족, 주변인으로부터 배제당하지 않으며…."]
국내 HIV 감염인은 1만 9천여 명.
사회적인 낙인은 물론 의료기관의 진료 거부까지, 근거 없는 차별과 냉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도 수술 못받는 HIV 감염인…여전한 차별과 냉대
-
- 입력 2025-04-17 19:20:23
- 수정2025-04-17 19:59:53

[앵커]
한때 공포의 대상이던 '에이즈'는 이젠 제때 치료만 받으면 관리 가능한 질환이 됐습니다.
하지만,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 감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술을 거부당하는 등 기본권 침해가 심각합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HIV 감염인인 70대 A 씨는 석 달 전, 계단에서 떨어져 왼발 뒤꿈치에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정형외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술 날짜를 잡았지만, 정작 당일날 수술이 취소됐습니다.
병원 측이, 내과적 질병을 이유로 수술할 수 없다고 통보한 겁니다.
10여 년 전, 양쪽 고관절 수술을 다른 병원에서 받았었던 A씨는 황당하다는 입장입니다.
[A 씨/HIV 감염인/음성변조 : "HIV가 어떻게 감염되는지 교수도 다 알 텐데 무조건 거부하는 거예요. HIV이기 때문에 거부하는 거예요."]
2022년, 인권위는 HIV 감염인의 손등 골절 수술을 거부한 병원에 대해 '차별'이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성관계나 수혈을 통해서만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청도 의료진이 표준주의 지침만 지키면 HIV 환자 수술에 별도의 장비나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HIV 관련 단체들은 병원의 진료 거부를 규탄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습니다.
진료 거부는 감염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행위라며, 국가인권위 대구사무소에 진정서도 제출했습니다.
[김동은/레드리본인권연대 활동가 : "그저 함께 살아가고 싶습니다.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고, 가족, 주변인으로부터 배제당하지 않으며…."]
국내 HIV 감염인은 1만 9천여 명.
사회적인 낙인은 물론 의료기관의 진료 거부까지, 근거 없는 차별과 냉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한때 공포의 대상이던 '에이즈'는 이젠 제때 치료만 받으면 관리 가능한 질환이 됐습니다.
하지만, 에이즈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 감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수술을 거부당하는 등 기본권 침해가 심각합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HIV 감염인인 70대 A 씨는 석 달 전, 계단에서 떨어져 왼발 뒤꿈치에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정형외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수술 날짜를 잡았지만, 정작 당일날 수술이 취소됐습니다.
병원 측이, 내과적 질병을 이유로 수술할 수 없다고 통보한 겁니다.
10여 년 전, 양쪽 고관절 수술을 다른 병원에서 받았었던 A씨는 황당하다는 입장입니다.
[A 씨/HIV 감염인/음성변조 : "HIV가 어떻게 감염되는지 교수도 다 알 텐데 무조건 거부하는 거예요. HIV이기 때문에 거부하는 거예요."]
2022년, 인권위는 HIV 감염인의 손등 골절 수술을 거부한 병원에 대해 '차별'이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성관계나 수혈을 통해서만 전파되는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질병청도 의료진이 표준주의 지침만 지키면 HIV 환자 수술에 별도의 장비나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HIV 관련 단체들은 병원의 진료 거부를 규탄하는 단체 행동에 나섰습니다.
진료 거부는 감염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행위라며, 국가인권위 대구사무소에 진정서도 제출했습니다.
[김동은/레드리본인권연대 활동가 : "그저 함께 살아가고 싶습니다.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고, 가족, 주변인으로부터 배제당하지 않으며…."]
국내 HIV 감염인은 1만 9천여 명.
사회적인 낙인은 물론 의료기관의 진료 거부까지, 근거 없는 차별과 냉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
-
박준우 기자 joonwoo@kbs.co.kr
박준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