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방문자 수 감소…골드만삭스 “최악의 경우 미국 손실 100조원대”

입력 2025.04.16 (04:44) 수정 2025.04.16 (04: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와 국경 정책에 대한 세계인의 반감이 커지면서 미국 제품 불매 운동과 미국 여행 기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예상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제무역청 ITA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편을 통한 미국 방문자 수는 1년 전보다 거의 10% 감소했습니다.

이에 대해 골드만삭스 그룹은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미국 여행 감소 등에 따른 타격이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0.3%, 약 900억달러(128조7천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블룸버그는 특히 미국 여행을 계획한 캐나다인들이 최근 미국에 대한 반감으로 여행을 취소하는 사례가 많다고 전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10일에 발표된 미 노동통계국의 소비자 물가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료와 호텔 요금, 렌터카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물가 분석업체 인플레이션 인사이트 역시 호텔 요금이 특히 미 북동부에서 약 11% 하락했으며 이는 캐나다인 여행객 감소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OAG 에이비에이션 월드와이드'에 따르면 오는 9월까지 캐나다발 미국행 항공편 예약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0% 감소했습니다.

호텔 예약플랫폼 어코르 SA에서 유럽 관광객의 올여름 미국 호텔 예약 건수도 25% 줄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경제분석가 조지프 브릭스와 메간 피터스는 지난달 말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발표와 전통적인 동맹국들에 대한 더 공격적인 입장은 미국에 대한 세계적인 인식에 타격을 입혔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역풍은 관세의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과 보복에 따른 수출 감소에 더해 2025년 미국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또 다른 이유를 제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방문자 수 감소…골드만삭스 “최악의 경우 미국 손실 100조원대”
    • 입력 2025-04-16 04:44:12
    • 수정2025-04-16 04:45:00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와 국경 정책에 대한 세계인의 반감이 커지면서 미국 제품 불매 운동과 미국 여행 기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예상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제무역청 ITA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편을 통한 미국 방문자 수는 1년 전보다 거의 10% 감소했습니다.

이에 대해 골드만삭스 그룹은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미국 여행 감소 등에 따른 타격이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0.3%, 약 900억달러(128조7천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블룸버그는 특히 미국 여행을 계획한 캐나다인들이 최근 미국에 대한 반감으로 여행을 취소하는 사례가 많다고 전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10일에 발표된 미 노동통계국의 소비자 물가 지표에 따르면 지난달 항공료와 호텔 요금, 렌터카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물가 분석업체 인플레이션 인사이트 역시 호텔 요금이 특히 미 북동부에서 약 11% 하락했으며 이는 캐나다인 여행객 감소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시장조사업체 'OAG 에이비에이션 월드와이드'에 따르면 오는 9월까지 캐나다발 미국행 항공편 예약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0% 감소했습니다.

호텔 예약플랫폼 어코르 SA에서 유럽 관광객의 올여름 미국 호텔 예약 건수도 25% 줄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경제분석가 조지프 브릭스와 메간 피터스는 지난달 말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발표와 전통적인 동맹국들에 대한 더 공격적인 입장은 미국에 대한 세계적인 인식에 타격을 입혔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역풍은 관세의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과 보복에 따른 수출 감소에 더해 2025년 미국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또 다른 이유를 제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