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 협력 차질 우려

입력 2025.04.15 (13:07) 수정 2025.04.15 (13: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가 현지 시각 15일부터 이른바 민감국가 리스트(SCL)에 한국을 포함해 관리합니다.

미국 에너지부는 바이든 정부 때인 지난 1월초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SCL)상의 ‘기타 지정 국가’로 추가했으며 현지 시각 15일 시행을 예고했습니다.

현재까지 이 조치의 시행이 유예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라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민감국가 리스트는 에너지부 내부 규정이며 공식적으로는 대외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원래 공개하지 않는 명단이라 해제했다고 알려오지 않는 이상 발효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라며 “(발효일인) 15일 이전에 우리가 빠진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어 예정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의 보안 우려를 이유로 한 이번 조치에 따라 동맹국인 한미 양국간 원자력이나 에너지, 첨단 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협력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미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새로운 제한은 없으며 한국과 긴밀하게 과학·산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동맹국인 한국을 과학 협력에서는 북한 등과 사실상 비슷하게 취급하면서 한미 동맹에도 상징적인 의미에서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미 에너지부는 국가안보, 핵 비확산, 테러 지원 등의 우려를 이유로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된 나라와는 연구 협력, 기술 공유 등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북한 등 테러지원국, 중국, 러시아 등 위험 국가가 우선적으로 포함됩니다.

한국이 포함된 기타 지정 국가는 테러지원국이나 위험 국가에 비해 우려 수위가 낮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리스트상 최하위 범주입니다.

여기에 포함되면 상대국 인사가 에너지부 및 산하 17개 연구소에 방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 등이 필요합니다.

미국 측 인사가 상대국을 방문하거나 접촉할 때도 추가의 보안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 관계인 한미 양국 간 일상적 과학 협력에서는 장애 요인이 생기게 됐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의 반복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리스트에서 한국이 제외되지 않은 것은 에너지부 내부 절차 등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미국 에너지부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한국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 협력 차질 우려
    • 입력 2025-04-15 13:07:15
    • 수정2025-04-15 13:09:42
    국제
미국 에너지부가 현지 시각 15일부터 이른바 민감국가 리스트(SCL)에 한국을 포함해 관리합니다.

미국 에너지부는 바이든 정부 때인 지난 1월초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SCL)상의 ‘기타 지정 국가’로 추가했으며 현지 시각 15일 시행을 예고했습니다.

현재까지 이 조치의 시행이 유예되거나 변경되지 않은 상태라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민감국가 리스트는 에너지부 내부 규정이며 공식적으로는 대외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원래 공개하지 않는 명단이라 해제했다고 알려오지 않는 이상 발효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라며 “(발효일인) 15일 이전에 우리가 빠진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어 예정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의 보안 우려를 이유로 한 이번 조치에 따라 동맹국인 한미 양국간 원자력이나 에너지, 첨단 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협력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미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새로운 제한은 없으며 한국과 긴밀하게 과학·산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동맹국인 한국을 과학 협력에서는 북한 등과 사실상 비슷하게 취급하면서 한미 동맹에도 상징적인 의미에서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미 에너지부는 국가안보, 핵 비확산, 테러 지원 등의 우려를 이유로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된 나라와는 연구 협력, 기술 공유 등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북한 등 테러지원국, 중국, 러시아 등 위험 국가가 우선적으로 포함됩니다.

한국이 포함된 기타 지정 국가는 테러지원국이나 위험 국가에 비해 우려 수위가 낮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리스트상 최하위 범주입니다.

여기에 포함되면 상대국 인사가 에너지부 및 산하 17개 연구소에 방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 등이 필요합니다.

미국 측 인사가 상대국을 방문하거나 접촉할 때도 추가의 보안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 관계인 한미 양국 간 일상적 과학 협력에서는 장애 요인이 생기게 됐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의 반복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리스트에서 한국이 제외되지 않은 것은 에너지부 내부 절차 등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미국 에너지부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