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그 후’ 잿더미 속 희망 찾는 사람들

입력 2025.04.09 (06:48) 수정 2025.04.09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북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이 진화된 지 열흘이 다 돼가지만, 피해 지역 상황은 크게 달라진 게 없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잿더미 속에서 희망을 찾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순식간에 휩쓸고 간 화마에 잿더미로 변해버린 바닷가 마을, 아직도 코끝을 찌르는 매캐한 냄새를 견디며 주민들은 갓 따온 미역을 말립니다.

산불이 나면서 중단됐던 미역 손질 작업이 다시 시작됐습니다.

[김정순/경북 영덕군 노물리 주민 : "어찌 됐든 평상으로 돌아가야지 어쩌겠습니까. 집은 들어갈 수는 있으니까요, 냄새는 나고 (하지만)…. 일상으로 돌아가야지 누가 먹여 살려주는 것도 아니고, 안 그래요?"]

예년 같으면 대게와 가자미 철을 맞아 북적일 항구, 지금은 점심시간에도 한산하기만 합니다.

관광객 발길이 끊기면서 단체 예약은 줄줄이 취소됐고 주민들은 산불 피해에 매출 감소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신은재/경북 영덕군 경정3리 주민 : "내 집부터 복구해 달라고 하면 내 욕심이고요, 블루로드 길(동해안 둘레길)을 빨리 어떻게 (복구해서) 사람들이 올 수 있는 이런 계기를 빨리 만들어 가지고…"]

주택 천5백여 채가 소실되고 10명이 숨져 경북에서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영덕군, 하지만 아직도 피해 조사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상당수 주민은 불탄 집 철거는 엄두도 못내고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박동수/경북 영덕군 노물리 주민 : "이게 너무 황폐화되다 보니까 어떻게 진행돼 가는가, 정부만 쳐다보고 있는 거지. 근데 진행이 안 되고 있고."]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어버린 산불 피해 주민들, 이들을 다시 일으켜 세워줄 관심의 손길이 절실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그 후’ 잿더미 속 희망 찾는 사람들
    • 입력 2025-04-09 06:48:00
    • 수정2025-04-09 08:04:51
    뉴스광장 1부
[앵커]

경북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이 진화된 지 열흘이 다 돼가지만, 피해 지역 상황은 크게 달라진 게 없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잿더미 속에서 희망을 찾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순식간에 휩쓸고 간 화마에 잿더미로 변해버린 바닷가 마을, 아직도 코끝을 찌르는 매캐한 냄새를 견디며 주민들은 갓 따온 미역을 말립니다.

산불이 나면서 중단됐던 미역 손질 작업이 다시 시작됐습니다.

[김정순/경북 영덕군 노물리 주민 : "어찌 됐든 평상으로 돌아가야지 어쩌겠습니까. 집은 들어갈 수는 있으니까요, 냄새는 나고 (하지만)…. 일상으로 돌아가야지 누가 먹여 살려주는 것도 아니고, 안 그래요?"]

예년 같으면 대게와 가자미 철을 맞아 북적일 항구, 지금은 점심시간에도 한산하기만 합니다.

관광객 발길이 끊기면서 단체 예약은 줄줄이 취소됐고 주민들은 산불 피해에 매출 감소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신은재/경북 영덕군 경정3리 주민 : "내 집부터 복구해 달라고 하면 내 욕심이고요, 블루로드 길(동해안 둘레길)을 빨리 어떻게 (복구해서) 사람들이 올 수 있는 이런 계기를 빨리 만들어 가지고…"]

주택 천5백여 채가 소실되고 10명이 숨져 경북에서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영덕군, 하지만 아직도 피해 조사 단계에 머물고 있습니다.

상당수 주민은 불탄 집 철거는 엄두도 못내고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박동수/경북 영덕군 노물리 주민 : "이게 너무 황폐화되다 보니까 어떻게 진행돼 가는가, 정부만 쳐다보고 있는 거지. 근데 진행이 안 되고 있고."]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어버린 산불 피해 주민들, 이들을 다시 일으켜 세워줄 관심의 손길이 절실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