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안동] 안동시, 이재민 공공임대주택 긴급 지원 외
입력 2025.04.07 (19:35)
수정 2025.04.07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시는 산불 이재민에게 공공임대주택 74채를 긴급 지원합니다.
이번에 지원되는 공공임대주택은 옥동주공6단지와 송현주공3단지, 천년나무 행복주택 등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소유하거나 관리중인 3개 단지, 74채입니다.
입주하는 이재민은 보증금이나 월 임대료 부담 없이 관리비만 납부하면 되고,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주자는 가구원 수와 거주 기간 등 배점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이달 안에 전 가구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안동시, 농기계 임대 지원 55억 투입
안동시는 산불 피해 농가의 빠른 영농 재개를 위해 농기계 임대 지원에 55억원을 투입합니다.
먼저, 35억 원을 들여 보행관리기와 이동형 동력분무기 각 5백대를 구입해 마을 단위로 순차적으로 장기 임대합니다.
또 20억원을 투입해 트랙터와 SS기, 승용제초기 등의 단기 임대 농기계를 임대사업소에 추가 도입해 산불 피해 농가에 우선적으로 임대해 줄 계획입니다.
의성군, 산불 피해 지원 추경 8백억 편성
의성군이 산불 피해 복구와 군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8백억원 규모의 긴급지원 추경예산을 편성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군민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 경북 재난지원금 145억원과 이재민 생활안정 구호 118억원, 피해농축산기반 응급지원비 98억원, 피해주택 철거와 긴급방재 242억원 등입니다.
의성군은 앞으로 3회 추경을 통해 위험지구 정비와 항구복구 예산을 추가로 편성할 계획입니다.
청송군의료원 응급의료기관 평가 A등급
청송군보건의료원이 보건복지부의 '2024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해 2억9천만원의 응급의료기금을 확보했습니다.
청송군보건의료원은 전국 228개 지역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에서 응급의료 제공 역량과 시설·장비 수준, 환자 안전, 응급 대응체계 등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국 보건의료원 가운데 A등급을 받은 곳은 청송군을 포함해 강원 평창군과 전북 임실군 등 3곳 뿐입니다.
이번에 지원되는 공공임대주택은 옥동주공6단지와 송현주공3단지, 천년나무 행복주택 등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소유하거나 관리중인 3개 단지, 74채입니다.
입주하는 이재민은 보증금이나 월 임대료 부담 없이 관리비만 납부하면 되고,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주자는 가구원 수와 거주 기간 등 배점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이달 안에 전 가구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안동시, 농기계 임대 지원 55억 투입
안동시는 산불 피해 농가의 빠른 영농 재개를 위해 농기계 임대 지원에 55억원을 투입합니다.
먼저, 35억 원을 들여 보행관리기와 이동형 동력분무기 각 5백대를 구입해 마을 단위로 순차적으로 장기 임대합니다.
또 20억원을 투입해 트랙터와 SS기, 승용제초기 등의 단기 임대 농기계를 임대사업소에 추가 도입해 산불 피해 농가에 우선적으로 임대해 줄 계획입니다.
의성군, 산불 피해 지원 추경 8백억 편성
의성군이 산불 피해 복구와 군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8백억원 규모의 긴급지원 추경예산을 편성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군민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 경북 재난지원금 145억원과 이재민 생활안정 구호 118억원, 피해농축산기반 응급지원비 98억원, 피해주택 철거와 긴급방재 242억원 등입니다.
의성군은 앞으로 3회 추경을 통해 위험지구 정비와 항구복구 예산을 추가로 편성할 계획입니다.
청송군의료원 응급의료기관 평가 A등급
청송군보건의료원이 보건복지부의 '2024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해 2억9천만원의 응급의료기금을 확보했습니다.
청송군보건의료원은 전국 228개 지역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에서 응급의료 제공 역량과 시설·장비 수준, 환자 안전, 응급 대응체계 등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국 보건의료원 가운데 A등급을 받은 곳은 청송군을 포함해 강원 평창군과 전북 임실군 등 3곳 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안동] 안동시, 이재민 공공임대주택 긴급 지원 외
-
- 입력 2025-04-07 19:35:57
- 수정2025-04-07 19:46:41

안동시는 산불 이재민에게 공공임대주택 74채를 긴급 지원합니다.
이번에 지원되는 공공임대주택은 옥동주공6단지와 송현주공3단지, 천년나무 행복주택 등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소유하거나 관리중인 3개 단지, 74채입니다.
입주하는 이재민은 보증금이나 월 임대료 부담 없이 관리비만 납부하면 되고,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주자는 가구원 수와 거주 기간 등 배점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이달 안에 전 가구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안동시, 농기계 임대 지원 55억 투입
안동시는 산불 피해 농가의 빠른 영농 재개를 위해 농기계 임대 지원에 55억원을 투입합니다.
먼저, 35억 원을 들여 보행관리기와 이동형 동력분무기 각 5백대를 구입해 마을 단위로 순차적으로 장기 임대합니다.
또 20억원을 투입해 트랙터와 SS기, 승용제초기 등의 단기 임대 농기계를 임대사업소에 추가 도입해 산불 피해 농가에 우선적으로 임대해 줄 계획입니다.
의성군, 산불 피해 지원 추경 8백억 편성
의성군이 산불 피해 복구와 군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8백억원 규모의 긴급지원 추경예산을 편성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군민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 경북 재난지원금 145억원과 이재민 생활안정 구호 118억원, 피해농축산기반 응급지원비 98억원, 피해주택 철거와 긴급방재 242억원 등입니다.
의성군은 앞으로 3회 추경을 통해 위험지구 정비와 항구복구 예산을 추가로 편성할 계획입니다.
청송군의료원 응급의료기관 평가 A등급
청송군보건의료원이 보건복지부의 '2024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해 2억9천만원의 응급의료기금을 확보했습니다.
청송군보건의료원은 전국 228개 지역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에서 응급의료 제공 역량과 시설·장비 수준, 환자 안전, 응급 대응체계 등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국 보건의료원 가운데 A등급을 받은 곳은 청송군을 포함해 강원 평창군과 전북 임실군 등 3곳 뿐입니다.
이번에 지원되는 공공임대주택은 옥동주공6단지와 송현주공3단지, 천년나무 행복주택 등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소유하거나 관리중인 3개 단지, 74채입니다.
입주하는 이재민은 보증금이나 월 임대료 부담 없이 관리비만 납부하면 되고,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주자는 가구원 수와 거주 기간 등 배점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이달 안에 전 가구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안동시, 농기계 임대 지원 55억 투입
안동시는 산불 피해 농가의 빠른 영농 재개를 위해 농기계 임대 지원에 55억원을 투입합니다.
먼저, 35억 원을 들여 보행관리기와 이동형 동력분무기 각 5백대를 구입해 마을 단위로 순차적으로 장기 임대합니다.
또 20억원을 투입해 트랙터와 SS기, 승용제초기 등의 단기 임대 농기계를 임대사업소에 추가 도입해 산불 피해 농가에 우선적으로 임대해 줄 계획입니다.
의성군, 산불 피해 지원 추경 8백억 편성
의성군이 산불 피해 복구와 군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8백억원 규모의 긴급지원 추경예산을 편성했습니다.
분야별로는 군민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 경북 재난지원금 145억원과 이재민 생활안정 구호 118억원, 피해농축산기반 응급지원비 98억원, 피해주택 철거와 긴급방재 242억원 등입니다.
의성군은 앞으로 3회 추경을 통해 위험지구 정비와 항구복구 예산을 추가로 편성할 계획입니다.
청송군의료원 응급의료기관 평가 A등급
청송군보건의료원이 보건복지부의 '2024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해 2억9천만원의 응급의료기금을 확보했습니다.
청송군보건의료원은 전국 228개 지역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에서 응급의료 제공 역량과 시설·장비 수준, 환자 안전, 응급 대응체계 등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국 보건의료원 가운데 A등급을 받은 곳은 청송군을 포함해 강원 평창군과 전북 임실군 등 3곳 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