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 탄핵 선고 순간…도민 반응은?
입력 2025.04.05 (21:27)
수정 2025.04.05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도내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숨죽여 지켜봤는데요.
선고의 순간, 도민들의 반응을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여 명의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긴장된 분위기 속 굳은 얼굴들.
화면 속 헌법재판관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입니다.
두 손을 꼭 모은 채 때로는 박수를, 때로는 환호를 보냅니다.
마침내 다가온 헌법재판소 선고 순간.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로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는 시민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환영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11일만입니다.
[한승희/원주시 개운동 : "상식이 통하는 나라 라면은 분명히 좋은 결과가 나올 거다.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대통령 탄핵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정찬호/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파면이 되긴 했는데 이게 첫걸음이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더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무시했던 많은 부조리들을 해결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정의당 강원도당 등 정당들과 도내 시민단체들도 잇따라 성명을 내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를 환영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은 민주주의의 전진이며, 시민들의 승리라고 자축했습니다.
다만,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이번 탄핵 선고와 관련해 별도의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춘천시와 원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탄핵 선고 이후 긴급회의를 열고,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이장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도내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숨죽여 지켜봤는데요.
선고의 순간, 도민들의 반응을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여 명의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긴장된 분위기 속 굳은 얼굴들.
화면 속 헌법재판관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입니다.
두 손을 꼭 모은 채 때로는 박수를, 때로는 환호를 보냅니다.
마침내 다가온 헌법재판소 선고 순간.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로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는 시민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환영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11일만입니다.
[한승희/원주시 개운동 : "상식이 통하는 나라 라면은 분명히 좋은 결과가 나올 거다.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대통령 탄핵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정찬호/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파면이 되긴 했는데 이게 첫걸음이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더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무시했던 많은 부조리들을 해결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정의당 강원도당 등 정당들과 도내 시민단체들도 잇따라 성명을 내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를 환영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은 민주주의의 전진이며, 시민들의 승리라고 자축했습니다.
다만,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이번 탄핵 선고와 관련해 별도의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춘천시와 원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탄핵 선고 이후 긴급회의를 열고,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헌법재판소 탄핵 선고 순간…도민 반응은?
-
- 입력 2025-04-05 21:27:17
- 수정2025-04-05 22:10:11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도내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숨죽여 지켜봤는데요.
선고의 순간, 도민들의 반응을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여 명의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긴장된 분위기 속 굳은 얼굴들.
화면 속 헌법재판관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입니다.
두 손을 꼭 모은 채 때로는 박수를, 때로는 환호를 보냅니다.
마침내 다가온 헌법재판소 선고 순간.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로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는 시민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환영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11일만입니다.
[한승희/원주시 개운동 : "상식이 통하는 나라 라면은 분명히 좋은 결과가 나올 거다.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대통령 탄핵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정찬호/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파면이 되긴 했는데 이게 첫걸음이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더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무시했던 많은 부조리들을 해결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정의당 강원도당 등 정당들과 도내 시민단체들도 잇따라 성명을 내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를 환영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은 민주주의의 전진이며, 시민들의 승리라고 자축했습니다.
다만,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이번 탄핵 선고와 관련해 별도의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춘천시와 원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탄핵 선고 이후 긴급회의를 열고,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이장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도내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숨죽여 지켜봤는데요.
선고의 순간, 도민들의 반응을 임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여 명의 시민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긴장된 분위기 속 굳은 얼굴들.
화면 속 헌법재판관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입니다.
두 손을 꼭 모은 채 때로는 박수를, 때로는 환호를 보냅니다.
마침내 다가온 헌법재판소 선고 순간.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로 얼싸안고 눈물을 흘리는 시민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환영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지 111일만입니다.
[한승희/원주시 개운동 : "상식이 통하는 나라 라면은 분명히 좋은 결과가 나올 거다.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대통령 탄핵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정찬호/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파면이 되긴 했는데 이게 첫걸음이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더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고 우리가 지금까지 무시했던 많은 부조리들을 해결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정의당 강원도당 등 정당들과 도내 시민단체들도 잇따라 성명을 내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를 환영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소추안 인용은 민주주의의 전진이며, 시민들의 승리라고 자축했습니다.
다만,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이번 탄핵 선고와 관련해 별도의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춘천시와 원주시 등 일부 지자체는 탄핵 선고 이후 긴급회의를 열고, 민생 안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이장주
-
-
임서영 기자 mercy0@kbs.co.kr
임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