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운명 결정할 재판관 8인…차례로 출근 [현장영상]
입력 2025.04.04 (09:19)
수정 2025.04.04 (16: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이 헌법재판관 8명의 손에 놓였습니다.
재판관들은 탄핵심판 사건을 접수한 작년 12월 14일부터 숙의를 거듭한 끝에 111일 만인 4일 오전 11시 최종 결정을 선고합니다.
헌법에 따른 재판관 정원은 9인이지만 현직은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정형식·김복형·조한창·정계선 재판관으로 총 8명입니다.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는 여야 합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임명되지 못했습니다.
현직 중 최선임이자 헌재소장 권한대행인 문형배(59·사법연수원 18기) 재판관은 부산고법 수석부장판사를 지내는 등 부산·창원에서 근무한 '향판'(지역법관) 출신입니다. 진보 성향 판사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소신이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재판장으로서 속도감 있는 재판 진행을 보였습니다.
이미선(55·26기) 재판관은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낸 노동법 전문가로 2019년 4월 취임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 기록을 경신해 주목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부장 이력도 있으며 신중한 성격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사건의 쟁점 정리를 담당한 수명 재판관입니다. 국제인권법연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들 두 재판관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김형두(60·19기) 재판관은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심의관을 거쳐 차장까지 올랐고,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부장·형사합의부장·민사2수석부장 등 재판과 사법행정 요직을 두루 거친 대표적 정통 법관입니다.
엘리트 법조인 모임인 민사판례연구회 출신으로 법리에 밝고 균형감이 있으며 정무적 감각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의 주심이었고, 윤 대통령 사건 변론마다 두꺼운 서류 더미를 들고 와 자료를 바탕으로 꼼꼼히 질문하는 모습이 여러 번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정정미(56·25기) 재판관은 주로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재판을 해온 고법판사 출신입니다.
사법연수원 교수와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지냈으며 대전지방변호사회로부터 두 차례 우수 법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심판에서 다른 재판관 3인과 함께 인용 의견을 냈습니다.
김 재판관과 정 재판관은 김명수 전 대법원장이 지명했습니다.
정형식(64·17기) 재판관은 대전고등법원장,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서울회생법원장을 지낸 고위 법관 출신으로 법리 판단이 세밀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주심으로 사건 진행 중 '송곳 질문'을 여러 차례 던져 주목받았습니다.
정 재판관은 윤 대통령이 직접 지명했습니다.
김복형(57·24기) 재판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30년 가까이 재판 업무에만 매진했습니다.
여성 법관 중 최초로 대법원 재판연구관 시절 대법관의 전속 연구관을 지냈습니다.
최근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소추 사유 가운데 위헌·위법이 전혀 없다는 의견을 홀로 밝혀 이목을 끌었습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조한창(66·18기) 재판관은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리, 서울고법 행정·조세 전담부 등을 거쳤습니다.
김명수 전 대법원장 시절 법원을 떠나 법무법인 도울 대표 변호사로 일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 절차를 엄격히 판단해 정형식 재판관과 함께 각하 의견을 냈습니다.
정계선(56·27기) 재판관은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법 부패전담부 재판장을 맡아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15년의 실형을 선고한 판결로 유명합니다.
우리법연구회를 거쳐 우리법 해체 이후 외연을 넓혀 결성된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는 위헌·위법이 중대해 파면해야 한다는 '강성' 인용 의견을 유일하게 냈습니다.
조 재판관과 정계선 재판관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추천해 선출됐습니다.
재판관들은 2월 25일 변론을 종결한 뒤 한 달 넘게 평의를 열어 사건을 심리해왔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전체 심리 기간과 변론종결 후 평의 기간 모두 대통령 사건 중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재판관들은 탄핵심판 사건을 접수한 작년 12월 14일부터 숙의를 거듭한 끝에 111일 만인 4일 오전 11시 최종 결정을 선고합니다.
헌법에 따른 재판관 정원은 9인이지만 현직은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정형식·김복형·조한창·정계선 재판관으로 총 8명입니다.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는 여야 합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임명되지 못했습니다.
현직 중 최선임이자 헌재소장 권한대행인 문형배(59·사법연수원 18기) 재판관은 부산고법 수석부장판사를 지내는 등 부산·창원에서 근무한 '향판'(지역법관) 출신입니다. 진보 성향 판사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소신이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재판장으로서 속도감 있는 재판 진행을 보였습니다.
이미선(55·26기) 재판관은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낸 노동법 전문가로 2019년 4월 취임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 기록을 경신해 주목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부장 이력도 있으며 신중한 성격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사건의 쟁점 정리를 담당한 수명 재판관입니다. 국제인권법연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들 두 재판관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김형두(60·19기) 재판관은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심의관을 거쳐 차장까지 올랐고,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부장·형사합의부장·민사2수석부장 등 재판과 사법행정 요직을 두루 거친 대표적 정통 법관입니다.
엘리트 법조인 모임인 민사판례연구회 출신으로 법리에 밝고 균형감이 있으며 정무적 감각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의 주심이었고, 윤 대통령 사건 변론마다 두꺼운 서류 더미를 들고 와 자료를 바탕으로 꼼꼼히 질문하는 모습이 여러 번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정정미(56·25기) 재판관은 주로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재판을 해온 고법판사 출신입니다.
사법연수원 교수와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지냈으며 대전지방변호사회로부터 두 차례 우수 법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심판에서 다른 재판관 3인과 함께 인용 의견을 냈습니다.
김 재판관과 정 재판관은 김명수 전 대법원장이 지명했습니다.
정형식(64·17기) 재판관은 대전고등법원장,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서울회생법원장을 지낸 고위 법관 출신으로 법리 판단이 세밀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주심으로 사건 진행 중 '송곳 질문'을 여러 차례 던져 주목받았습니다.
정 재판관은 윤 대통령이 직접 지명했습니다.
김복형(57·24기) 재판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30년 가까이 재판 업무에만 매진했습니다.
여성 법관 중 최초로 대법원 재판연구관 시절 대법관의 전속 연구관을 지냈습니다.
최근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소추 사유 가운데 위헌·위법이 전혀 없다는 의견을 홀로 밝혀 이목을 끌었습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조한창(66·18기) 재판관은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리, 서울고법 행정·조세 전담부 등을 거쳤습니다.
김명수 전 대법원장 시절 법원을 떠나 법무법인 도울 대표 변호사로 일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 절차를 엄격히 판단해 정형식 재판관과 함께 각하 의견을 냈습니다.
정계선(56·27기) 재판관은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법 부패전담부 재판장을 맡아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15년의 실형을 선고한 판결로 유명합니다.
우리법연구회를 거쳐 우리법 해체 이후 외연을 넓혀 결성된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는 위헌·위법이 중대해 파면해야 한다는 '강성' 인용 의견을 유일하게 냈습니다.
조 재판관과 정계선 재판관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추천해 선출됐습니다.
재판관들은 2월 25일 변론을 종결한 뒤 한 달 넘게 평의를 열어 사건을 심리해왔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전체 심리 기간과 변론종결 후 평의 기간 모두 대통령 사건 중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윤 대통령 운명 결정할 재판관 8인…차례로 출근 [현장영상]
-
- 입력 2025-04-04 09:19:46
- 수정2025-04-04 16:11:51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이 헌법재판관 8명의 손에 놓였습니다.
재판관들은 탄핵심판 사건을 접수한 작년 12월 14일부터 숙의를 거듭한 끝에 111일 만인 4일 오전 11시 최종 결정을 선고합니다.
헌법에 따른 재판관 정원은 9인이지만 현직은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정형식·김복형·조한창·정계선 재판관으로 총 8명입니다.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는 여야 합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임명되지 못했습니다.
현직 중 최선임이자 헌재소장 권한대행인 문형배(59·사법연수원 18기) 재판관은 부산고법 수석부장판사를 지내는 등 부산·창원에서 근무한 '향판'(지역법관) 출신입니다. 진보 성향 판사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소신이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재판장으로서 속도감 있는 재판 진행을 보였습니다.
이미선(55·26기) 재판관은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낸 노동법 전문가로 2019년 4월 취임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 기록을 경신해 주목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부장 이력도 있으며 신중한 성격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사건의 쟁점 정리를 담당한 수명 재판관입니다. 국제인권법연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들 두 재판관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김형두(60·19기) 재판관은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심의관을 거쳐 차장까지 올랐고,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부장·형사합의부장·민사2수석부장 등 재판과 사법행정 요직을 두루 거친 대표적 정통 법관입니다.
엘리트 법조인 모임인 민사판례연구회 출신으로 법리에 밝고 균형감이 있으며 정무적 감각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의 주심이었고, 윤 대통령 사건 변론마다 두꺼운 서류 더미를 들고 와 자료를 바탕으로 꼼꼼히 질문하는 모습이 여러 번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정정미(56·25기) 재판관은 주로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재판을 해온 고법판사 출신입니다.
사법연수원 교수와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지냈으며 대전지방변호사회로부터 두 차례 우수 법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심판에서 다른 재판관 3인과 함께 인용 의견을 냈습니다.
김 재판관과 정 재판관은 김명수 전 대법원장이 지명했습니다.
정형식(64·17기) 재판관은 대전고등법원장,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서울회생법원장을 지낸 고위 법관 출신으로 법리 판단이 세밀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주심으로 사건 진행 중 '송곳 질문'을 여러 차례 던져 주목받았습니다.
정 재판관은 윤 대통령이 직접 지명했습니다.
김복형(57·24기) 재판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30년 가까이 재판 업무에만 매진했습니다.
여성 법관 중 최초로 대법원 재판연구관 시절 대법관의 전속 연구관을 지냈습니다.
최근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소추 사유 가운데 위헌·위법이 전혀 없다는 의견을 홀로 밝혀 이목을 끌었습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조한창(66·18기) 재판관은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리, 서울고법 행정·조세 전담부 등을 거쳤습니다.
김명수 전 대법원장 시절 법원을 떠나 법무법인 도울 대표 변호사로 일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 절차를 엄격히 판단해 정형식 재판관과 함께 각하 의견을 냈습니다.
정계선(56·27기) 재판관은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법 부패전담부 재판장을 맡아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15년의 실형을 선고한 판결로 유명합니다.
우리법연구회를 거쳐 우리법 해체 이후 외연을 넓혀 결성된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는 위헌·위법이 중대해 파면해야 한다는 '강성' 인용 의견을 유일하게 냈습니다.
조 재판관과 정계선 재판관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추천해 선출됐습니다.
재판관들은 2월 25일 변론을 종결한 뒤 한 달 넘게 평의를 열어 사건을 심리해왔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전체 심리 기간과 변론종결 후 평의 기간 모두 대통령 사건 중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재판관들은 탄핵심판 사건을 접수한 작년 12월 14일부터 숙의를 거듭한 끝에 111일 만인 4일 오전 11시 최종 결정을 선고합니다.
헌법에 따른 재판관 정원은 9인이지만 현직은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정형식·김복형·조한창·정계선 재판관으로 총 8명입니다.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는 여야 합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임명되지 못했습니다.
현직 중 최선임이자 헌재소장 권한대행인 문형배(59·사법연수원 18기) 재판관은 부산고법 수석부장판사를 지내는 등 부산·창원에서 근무한 '향판'(지역법관) 출신입니다. 진보 성향 판사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소신이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재판장으로서 속도감 있는 재판 진행을 보였습니다.
이미선(55·26기) 재판관은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낸 노동법 전문가로 2019년 4월 취임 당시 역대 최연소 헌법재판관 기록을 경신해 주목받았습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부장 이력도 있으며 신중한 성격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 사건의 쟁점 정리를 담당한 수명 재판관입니다. 국제인권법연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들 두 재판관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김형두(60·19기) 재판관은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심의관을 거쳐 차장까지 올랐고,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부장·형사합의부장·민사2수석부장 등 재판과 사법행정 요직을 두루 거친 대표적 정통 법관입니다.
엘리트 법조인 모임인 민사판례연구회 출신으로 법리에 밝고 균형감이 있으며 정무적 감각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의 주심이었고, 윤 대통령 사건 변론마다 두꺼운 서류 더미를 들고 와 자료를 바탕으로 꼼꼼히 질문하는 모습이 여러 번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정정미(56·25기) 재판관은 주로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재판을 해온 고법판사 출신입니다.
사법연수원 교수와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지냈으며 대전지방변호사회로부터 두 차례 우수 법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심판에서 다른 재판관 3인과 함께 인용 의견을 냈습니다.
김 재판관과 정 재판관은 김명수 전 대법원장이 지명했습니다.
정형식(64·17기) 재판관은 대전고등법원장,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서울회생법원장을 지낸 고위 법관 출신으로 법리 판단이 세밀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주심으로 사건 진행 중 '송곳 질문'을 여러 차례 던져 주목받았습니다.
정 재판관은 윤 대통령이 직접 지명했습니다.
김복형(57·24기) 재판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30년 가까이 재판 업무에만 매진했습니다.
여성 법관 중 최초로 대법원 재판연구관 시절 대법관의 전속 연구관을 지냈습니다.
최근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소추 사유 가운데 위헌·위법이 전혀 없다는 의견을 홀로 밝혀 이목을 끌었습니다.
그는 조희대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재판관이 됐습니다.
조한창(66·18기) 재판관은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리, 서울고법 행정·조세 전담부 등을 거쳤습니다.
김명수 전 대법원장 시절 법원을 떠나 법무법인 도울 대표 변호사로 일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 절차를 엄격히 판단해 정형식 재판관과 함께 각하 의견을 냈습니다.
정계선(56·27기) 재판관은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법 부패전담부 재판장을 맡아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15년의 실형을 선고한 판결로 유명합니다.
우리법연구회를 거쳐 우리법 해체 이후 외연을 넓혀 결성된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한 총리 사건에서는 위헌·위법이 중대해 파면해야 한다는 '강성' 인용 의견을 유일하게 냈습니다.
조 재판관과 정계선 재판관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추천해 선출됐습니다.
재판관들은 2월 25일 변론을 종결한 뒤 한 달 넘게 평의를 열어 사건을 심리해왔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전체 심리 기간과 변론종결 후 평의 기간 모두 대통령 사건 중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
허용석 기자 hys@kbs.co.kr
허용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