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산불에 제주서도 산불 예방 훈련 총력
입력 2025.04.01 (19:21)
수정 2025.04.01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남권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지자체마다 산불 대응에 비상이 걸렸는데요.
제주 소방 당국이 봄철 산불 취약 시기를 맞아 진압 훈련에 나섰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며 열흘 만에 진화된 영남권 산불.
30명이 목숨을 잃고 피해 면적만 서울의 80%에 달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이후 지자체마다 초긴장 상태로 산불 예방과 대응 점검에 나섰습니다.
헬기 한 대가 저수지에서 물을 가득 채운 뒤 힘차게 날아오릅니다.
나무가 빼곡한 오름 중턱을 향해 소방차가 연신 물을 뿌려대고….
소방헬기도 공중에서 2천 리터의 물 덩어리를 지상으로 쏟아냅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는 봄철 화재 대비 가상 훈련입니다.
울퉁불퉁 경사진 산악 지형에 특화된 험지 펌프차도 투입됐습니다.
[김성숙/제주동부소방서 현장대응단 지휘팀장 : "산불이 확산할 경우 지상에서, 그리고 상공에서 공동 작전으로 산불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 훈련을 (했습니다.)"]
한라산뿐만 아니라 3백여 개의 오름도 산재해 있어 산불 화재에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제주.
화재 진압에 투입 가능한 헬기는 소방과 산림청, 경찰 등 3대에 불과합니다.
다른 지역 지원 헬기가 제주에 도착하기까지 최소 1시간이 걸려 조기 진화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김성진/제주도소방안전본부 119항공대팀장 : "화재가 확산해서 면적이 넓어지면 대응하는 데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타지역 헬기가) 도착하기까지 저희 헬기 3대로 화재 진압을 해야 하는 부담감과 어려움이 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3년간 제주에서 발생한 산불과 들불 화재는 59건, 특히 올해 들어 석 달 동안 13건이 발생했는데, 지난해 전체 건수 14건에 육박합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집중적으로 예찰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영남권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지자체마다 산불 대응에 비상이 걸렸는데요.
제주 소방 당국이 봄철 산불 취약 시기를 맞아 진압 훈련에 나섰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며 열흘 만에 진화된 영남권 산불.
30명이 목숨을 잃고 피해 면적만 서울의 80%에 달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이후 지자체마다 초긴장 상태로 산불 예방과 대응 점검에 나섰습니다.
헬기 한 대가 저수지에서 물을 가득 채운 뒤 힘차게 날아오릅니다.
나무가 빼곡한 오름 중턱을 향해 소방차가 연신 물을 뿌려대고….
소방헬기도 공중에서 2천 리터의 물 덩어리를 지상으로 쏟아냅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는 봄철 화재 대비 가상 훈련입니다.
울퉁불퉁 경사진 산악 지형에 특화된 험지 펌프차도 투입됐습니다.
[김성숙/제주동부소방서 현장대응단 지휘팀장 : "산불이 확산할 경우 지상에서, 그리고 상공에서 공동 작전으로 산불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 훈련을 (했습니다.)"]
한라산뿐만 아니라 3백여 개의 오름도 산재해 있어 산불 화재에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제주.
화재 진압에 투입 가능한 헬기는 소방과 산림청, 경찰 등 3대에 불과합니다.
다른 지역 지원 헬기가 제주에 도착하기까지 최소 1시간이 걸려 조기 진화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김성진/제주도소방안전본부 119항공대팀장 : "화재가 확산해서 면적이 넓어지면 대응하는 데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타지역 헬기가) 도착하기까지 저희 헬기 3대로 화재 진압을 해야 하는 부담감과 어려움이 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3년간 제주에서 발생한 산불과 들불 화재는 59건, 특히 올해 들어 석 달 동안 13건이 발생했는데, 지난해 전체 건수 14건에 육박합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집중적으로 예찰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역대 최악의 산불에 제주서도 산불 예방 훈련 총력
-
- 입력 2025-04-01 19:21:22
- 수정2025-04-01 20:03:20

[앵커]
영남권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지자체마다 산불 대응에 비상이 걸렸는데요.
제주 소방 당국이 봄철 산불 취약 시기를 맞아 진압 훈련에 나섰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며 열흘 만에 진화된 영남권 산불.
30명이 목숨을 잃고 피해 면적만 서울의 80%에 달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이후 지자체마다 초긴장 상태로 산불 예방과 대응 점검에 나섰습니다.
헬기 한 대가 저수지에서 물을 가득 채운 뒤 힘차게 날아오릅니다.
나무가 빼곡한 오름 중턱을 향해 소방차가 연신 물을 뿌려대고….
소방헬기도 공중에서 2천 리터의 물 덩어리를 지상으로 쏟아냅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는 봄철 화재 대비 가상 훈련입니다.
울퉁불퉁 경사진 산악 지형에 특화된 험지 펌프차도 투입됐습니다.
[김성숙/제주동부소방서 현장대응단 지휘팀장 : "산불이 확산할 경우 지상에서, 그리고 상공에서 공동 작전으로 산불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 훈련을 (했습니다.)"]
한라산뿐만 아니라 3백여 개의 오름도 산재해 있어 산불 화재에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제주.
화재 진압에 투입 가능한 헬기는 소방과 산림청, 경찰 등 3대에 불과합니다.
다른 지역 지원 헬기가 제주에 도착하기까지 최소 1시간이 걸려 조기 진화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김성진/제주도소방안전본부 119항공대팀장 : "화재가 확산해서 면적이 넓어지면 대응하는 데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타지역 헬기가) 도착하기까지 저희 헬기 3대로 화재 진압을 해야 하는 부담감과 어려움이 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3년간 제주에서 발생한 산불과 들불 화재는 59건, 특히 올해 들어 석 달 동안 13건이 발생했는데, 지난해 전체 건수 14건에 육박합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집중적으로 예찰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영남권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지자체마다 산불 대응에 비상이 걸렸는데요.
제주 소방 당국이 봄철 산불 취약 시기를 맞아 진압 훈련에 나섰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동시다발적으로 번지며 열흘 만에 진화된 영남권 산불.
30명이 목숨을 잃고 피해 면적만 서울의 80%에 달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이후 지자체마다 초긴장 상태로 산불 예방과 대응 점검에 나섰습니다.
헬기 한 대가 저수지에서 물을 가득 채운 뒤 힘차게 날아오릅니다.
나무가 빼곡한 오름 중턱을 향해 소방차가 연신 물을 뿌려대고….
소방헬기도 공중에서 2천 리터의 물 덩어리를 지상으로 쏟아냅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는 봄철 화재 대비 가상 훈련입니다.
울퉁불퉁 경사진 산악 지형에 특화된 험지 펌프차도 투입됐습니다.
[김성숙/제주동부소방서 현장대응단 지휘팀장 : "산불이 확산할 경우 지상에서, 그리고 상공에서 공동 작전으로 산불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해 훈련을 (했습니다.)"]
한라산뿐만 아니라 3백여 개의 오름도 산재해 있어 산불 화재에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제주.
화재 진압에 투입 가능한 헬기는 소방과 산림청, 경찰 등 3대에 불과합니다.
다른 지역 지원 헬기가 제주에 도착하기까지 최소 1시간이 걸려 조기 진화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김성진/제주도소방안전본부 119항공대팀장 : "화재가 확산해서 면적이 넓어지면 대응하는 데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타지역 헬기가) 도착하기까지 저희 헬기 3대로 화재 진압을 해야 하는 부담감과 어려움이 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3년간 제주에서 발생한 산불과 들불 화재는 59건, 특히 올해 들어 석 달 동안 13건이 발생했는데, 지난해 전체 건수 14건에 육박합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오는 5월 15일까지를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집중적으로 예찰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