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데이’ 맞은 의대들…‘의대 교육 정상화’ 이뤄지나

입력 2025.03.31 (12:24) 수정 2025.03.31 (1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년 이상 이어져 온 의정 갈등이 분기점을 맞고 있습니다.

앞서 서울대, 연세대 등 주요 의대에서 학생들이 복귀를 선택한 가운데, 나머지 대부분 의대들도 오늘로 복귀 시한이 끝납니다.

정부는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내년도 모집 정원을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했던 만큼, 오늘 의대생들의 선택에 따라 의대 교육 정상화 여부도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와 학교가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은 오늘입니다.

내년도 모집 정원을 증원 전으로 되돌리겠다는 약속은, 의대생들 복귀 시에만 지킬 수 있다는 겁니다.

[이종태/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지난 7일 : "(복귀하지 않으면) 어렵게 합의한 모집인원에 대한 논의는 다시금 원점으로…."]

현재 서울대, 연세대 등 이른바 '빅5 의대생'들은 사실상 전원 복귀를 결정했고, 국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등의 복귀 상황도 비슷합니다.

아직 등록을 마감하지 않은 건국대, 한양대 등도 오늘 등록 신청을 마감하는데, 앞선 학교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상당수 많은 대학 의대생들이 등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조만간 전국 의대의 복귀율을 취합해 이를 토대로 '정상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의대생이 복귀했는지 판단할 것으로 보입니다.

복귀 흐름이 시작된 만큼, 내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변수는 남아있습니다.

학생들이 등록만 하고 다시 휴학계를 내거나, 수업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단체 행동을 이어갈 수도 있는 겁니다.

정부가 앞서 이를 불허하겠다고 한 만큼, 상황에 따라 '의정 갈등 제2라운드'가 새로 열릴 수도 있습니다.

앞서 학생들의 휴학은 적법하다고 했던 의대생 단체 의대협은, "학생들이 모이는 한 포기하지 않겠다"며 투쟁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데이’ 맞은 의대들…‘의대 교육 정상화’ 이뤄지나
    • 입력 2025-03-31 12:24:44
    • 수정2025-03-31 13:44:51
    뉴스 12
[앵커]

1년 이상 이어져 온 의정 갈등이 분기점을 맞고 있습니다.

앞서 서울대, 연세대 등 주요 의대에서 학생들이 복귀를 선택한 가운데, 나머지 대부분 의대들도 오늘로 복귀 시한이 끝납니다.

정부는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내년도 모집 정원을 3천 명 수준으로 되돌리겠다고 했던 만큼, 오늘 의대생들의 선택에 따라 의대 교육 정상화 여부도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와 학교가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은 오늘입니다.

내년도 모집 정원을 증원 전으로 되돌리겠다는 약속은, 의대생들 복귀 시에만 지킬 수 있다는 겁니다.

[이종태/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지난 7일 : "(복귀하지 않으면) 어렵게 합의한 모집인원에 대한 논의는 다시금 원점으로…."]

현재 서울대, 연세대 등 이른바 '빅5 의대생'들은 사실상 전원 복귀를 결정했고, 국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등의 복귀 상황도 비슷합니다.

아직 등록을 마감하지 않은 건국대, 한양대 등도 오늘 등록 신청을 마감하는데, 앞선 학교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상당수 많은 대학 의대생들이 등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조만간 전국 의대의 복귀율을 취합해 이를 토대로 '정상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의대생이 복귀했는지 판단할 것으로 보입니다.

복귀 흐름이 시작된 만큼, 내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전인 3천 명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변수는 남아있습니다.

학생들이 등록만 하고 다시 휴학계를 내거나, 수업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단체 행동을 이어갈 수도 있는 겁니다.

정부가 앞서 이를 불허하겠다고 한 만큼, 상황에 따라 '의정 갈등 제2라운드'가 새로 열릴 수도 있습니다.

앞서 학생들의 휴학은 적법하다고 했던 의대생 단체 의대협은, "학생들이 모이는 한 포기하지 않겠다"며 투쟁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유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