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통제 강화에도 귀순…엘리트층 탈북도 잇따라
입력 2024.08.08 (21:05)
수정 2024.08.08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주민의 탈북은 과거에는 주로 제3국을 거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직접 남하해서 귀순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외교관 같은 엘리트 계층 탈북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 아무리 단속과 통제를 강화해도 자유와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탈북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5월, 연평도 서쪽 바다에서 어선 한 척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했습니다.
일가족 9명의 집단 귀순으로, 가족 단위의 어선 귀순은 2017년 이후 6년 만이었습니다.
5개월 뒤엔 동해로 4명이 목선을 타고 귀순했습니다.
이들은 먹고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각각 접경과 바닷가 지역에 살아 공통적으로 남한 방송에 자주 노출돼 있었습니다.
최근 북중 국경의 경비가 삼엄해지고, 군사분계선 인근 방벽 구축과 지뢰 매설로 육로 탈북이 더 어려워지는 점도 해상 탈북을 결심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입니다.
[김지선/가명/2023년 10월 탈북 : "(국경 지역도) 다 봉쇄했으니까 2m 높이로 철조망을 다 하고 이제는 거의 (탈북) 가능성이 없게 됐거든요. 너무 경계망이 철저한 데다가 여자들은 부둣가에 나가지도 못하게 딱 통제하고 있었으니까..."]
또 코로나19로 인한 3년 반의 국경 봉쇄 여파로 경제 전반이 붕괴된 것도 탈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코로나19 이후) 나름대로의 안정적 삶을 유지했던 중산층이라든가 중하위 관료들이 상당히 큰 타격을 받았거든요. 시장이 위축되고 전체적인 중하위 단위에서 통제 권한이 상당히 약화되면서..."]
외교관, 해외 주재원 등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늘어난 것도 최근 탈북의 특징입니다.
지난해 11월 쿠바에서 망명한 리일규 전 참사는 "먼저 탈북한 외교관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사는지 검색을 많이 해본다"고 밝혔는데, 앞으로도 해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잇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북한의 가중된 경제난과 주민들의 외부 정보 노출로 인해 북한이 삼엄한 통제로도 계층을 불문한 탈북을 막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
북한 주민의 탈북은 과거에는 주로 제3국을 거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직접 남하해서 귀순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외교관 같은 엘리트 계층 탈북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 아무리 단속과 통제를 강화해도 자유와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탈북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5월, 연평도 서쪽 바다에서 어선 한 척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했습니다.
일가족 9명의 집단 귀순으로, 가족 단위의 어선 귀순은 2017년 이후 6년 만이었습니다.
5개월 뒤엔 동해로 4명이 목선을 타고 귀순했습니다.
이들은 먹고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각각 접경과 바닷가 지역에 살아 공통적으로 남한 방송에 자주 노출돼 있었습니다.
최근 북중 국경의 경비가 삼엄해지고, 군사분계선 인근 방벽 구축과 지뢰 매설로 육로 탈북이 더 어려워지는 점도 해상 탈북을 결심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입니다.
[김지선/가명/2023년 10월 탈북 : "(국경 지역도) 다 봉쇄했으니까 2m 높이로 철조망을 다 하고 이제는 거의 (탈북) 가능성이 없게 됐거든요. 너무 경계망이 철저한 데다가 여자들은 부둣가에 나가지도 못하게 딱 통제하고 있었으니까..."]
또 코로나19로 인한 3년 반의 국경 봉쇄 여파로 경제 전반이 붕괴된 것도 탈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코로나19 이후) 나름대로의 안정적 삶을 유지했던 중산층이라든가 중하위 관료들이 상당히 큰 타격을 받았거든요. 시장이 위축되고 전체적인 중하위 단위에서 통제 권한이 상당히 약화되면서..."]
외교관, 해외 주재원 등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늘어난 것도 최근 탈북의 특징입니다.
지난해 11월 쿠바에서 망명한 리일규 전 참사는 "먼저 탈북한 외교관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사는지 검색을 많이 해본다"고 밝혔는데, 앞으로도 해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잇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북한의 가중된 경제난과 주민들의 외부 정보 노출로 인해 북한이 삼엄한 통제로도 계층을 불문한 탈북을 막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속·통제 강화에도 귀순…엘리트층 탈북도 잇따라
-
- 입력 2024-08-08 21:05:08
- 수정2024-08-08 21:55:50
[앵커]
북한 주민의 탈북은 과거에는 주로 제3국을 거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직접 남하해서 귀순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외교관 같은 엘리트 계층 탈북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 아무리 단속과 통제를 강화해도 자유와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탈북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5월, 연평도 서쪽 바다에서 어선 한 척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했습니다.
일가족 9명의 집단 귀순으로, 가족 단위의 어선 귀순은 2017년 이후 6년 만이었습니다.
5개월 뒤엔 동해로 4명이 목선을 타고 귀순했습니다.
이들은 먹고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각각 접경과 바닷가 지역에 살아 공통적으로 남한 방송에 자주 노출돼 있었습니다.
최근 북중 국경의 경비가 삼엄해지고, 군사분계선 인근 방벽 구축과 지뢰 매설로 육로 탈북이 더 어려워지는 점도 해상 탈북을 결심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입니다.
[김지선/가명/2023년 10월 탈북 : "(국경 지역도) 다 봉쇄했으니까 2m 높이로 철조망을 다 하고 이제는 거의 (탈북) 가능성이 없게 됐거든요. 너무 경계망이 철저한 데다가 여자들은 부둣가에 나가지도 못하게 딱 통제하고 있었으니까..."]
또 코로나19로 인한 3년 반의 국경 봉쇄 여파로 경제 전반이 붕괴된 것도 탈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코로나19 이후) 나름대로의 안정적 삶을 유지했던 중산층이라든가 중하위 관료들이 상당히 큰 타격을 받았거든요. 시장이 위축되고 전체적인 중하위 단위에서 통제 권한이 상당히 약화되면서..."]
외교관, 해외 주재원 등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늘어난 것도 최근 탈북의 특징입니다.
지난해 11월 쿠바에서 망명한 리일규 전 참사는 "먼저 탈북한 외교관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사는지 검색을 많이 해본다"고 밝혔는데, 앞으로도 해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잇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북한의 가중된 경제난과 주민들의 외부 정보 노출로 인해 북한이 삼엄한 통제로도 계층을 불문한 탈북을 막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
북한 주민의 탈북은 과거에는 주로 제3국을 거치는 경우가 많았는데, 최근에는 직접 남하해서 귀순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외교관 같은 엘리트 계층 탈북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 아무리 단속과 통제를 강화해도 자유와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탈북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5월, 연평도 서쪽 바다에서 어선 한 척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했습니다.
일가족 9명의 집단 귀순으로, 가족 단위의 어선 귀순은 2017년 이후 6년 만이었습니다.
5개월 뒤엔 동해로 4명이 목선을 타고 귀순했습니다.
이들은 먹고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각각 접경과 바닷가 지역에 살아 공통적으로 남한 방송에 자주 노출돼 있었습니다.
최근 북중 국경의 경비가 삼엄해지고, 군사분계선 인근 방벽 구축과 지뢰 매설로 육로 탈북이 더 어려워지는 점도 해상 탈북을 결심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입니다.
[김지선/가명/2023년 10월 탈북 : "(국경 지역도) 다 봉쇄했으니까 2m 높이로 철조망을 다 하고 이제는 거의 (탈북) 가능성이 없게 됐거든요. 너무 경계망이 철저한 데다가 여자들은 부둣가에 나가지도 못하게 딱 통제하고 있었으니까..."]
또 코로나19로 인한 3년 반의 국경 봉쇄 여파로 경제 전반이 붕괴된 것도 탈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홍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코로나19 이후) 나름대로의 안정적 삶을 유지했던 중산층이라든가 중하위 관료들이 상당히 큰 타격을 받았거든요. 시장이 위축되고 전체적인 중하위 단위에서 통제 권한이 상당히 약화되면서..."]
외교관, 해외 주재원 등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늘어난 것도 최근 탈북의 특징입니다.
지난해 11월 쿠바에서 망명한 리일규 전 참사는 "먼저 탈북한 외교관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사는지 검색을 많이 해본다"고 밝혔는데, 앞으로도 해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엘리트 계층의 탈북이 잇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북한의 가중된 경제난과 주민들의 외부 정보 노출로 인해 북한이 삼엄한 통제로도 계층을 불문한 탈북을 막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