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피해 반복되지 않도록, 이태원 참사 추가 조사 필요”
입력 2023.10.23 (16:33)
수정 2023.10.23 (16: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진상규명을 위한 30대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오늘(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변호사회관 조영래홀에서 보고회를 열고 “(경찰과 검찰, 국정조사 등) 기존 조사는 참사 당일 현장에 각 기관의 담당자들이 몇 명이 있었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등 기초적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다”며 “참사 과정 중 위법행위를 부각하거나 입증할 수 있는 특정 주제들에 치중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원인 규명 활동의 최종 목적은 또 다른 참사의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향후 추가과제 조사는 모든 기관의 활동을 ‘피해 최소화’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확인하고 재난안전법상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재난관리 개념과도 부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회 주최 측은 경찰, 소방,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서울시, 용산구 등 6개 정부 기관의 책임을 물으며 진상규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먼저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참사 전후 대응을 진상규명 과제로 꼽았습니다. 특히 김 청장의 기소가 지연되는 이유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참사 당일 이태원에 정보관이 파견되지 않은 이유, 경찰 내부 보고서 은폐·삭제 이유,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의 관련성 등도 경찰에 대한 진상규명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어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이유, 구급차 이송과 사망자 판정 과정, 참사 예방 단계에서 행정안전부의 책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참사 대응 등도 추가 조사과제로 규정했습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에 대한 조사 과제로는 참사 초기 대응,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 인파 예측 실패 원인, 참사 후 임시 영안소 운영 경위 등을 꼽았습니다.
이 밖에도 유가족 정보 제공 지연, 구체적 피해자 지원 대책 미비, 사망자에 대한 명예훼손과 2차 가해 등을 언급하며 피해자 지원이 적절했는지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참사 초기부터 원인을 희생자에게 돌리고 ‘유가족이 희생자를 이용해 이익을 취하려 한다’는 내용의 2차 가해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정조사 보고서에서도 ‘2차 가해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기재됐지만, 지금까지도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들은 오늘(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변호사회관 조영래홀에서 보고회를 열고 “(경찰과 검찰, 국정조사 등) 기존 조사는 참사 당일 현장에 각 기관의 담당자들이 몇 명이 있었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등 기초적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다”며 “참사 과정 중 위법행위를 부각하거나 입증할 수 있는 특정 주제들에 치중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원인 규명 활동의 최종 목적은 또 다른 참사의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향후 추가과제 조사는 모든 기관의 활동을 ‘피해 최소화’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확인하고 재난안전법상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재난관리 개념과도 부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회 주최 측은 경찰, 소방,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서울시, 용산구 등 6개 정부 기관의 책임을 물으며 진상규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먼저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참사 전후 대응을 진상규명 과제로 꼽았습니다. 특히 김 청장의 기소가 지연되는 이유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참사 당일 이태원에 정보관이 파견되지 않은 이유, 경찰 내부 보고서 은폐·삭제 이유,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의 관련성 등도 경찰에 대한 진상규명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어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이유, 구급차 이송과 사망자 판정 과정, 참사 예방 단계에서 행정안전부의 책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참사 대응 등도 추가 조사과제로 규정했습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에 대한 조사 과제로는 참사 초기 대응,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 인파 예측 실패 원인, 참사 후 임시 영안소 운영 경위 등을 꼽았습니다.
이 밖에도 유가족 정보 제공 지연, 구체적 피해자 지원 대책 미비, 사망자에 대한 명예훼손과 2차 가해 등을 언급하며 피해자 지원이 적절했는지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참사 초기부터 원인을 희생자에게 돌리고 ‘유가족이 희생자를 이용해 이익을 취하려 한다’는 내용의 2차 가해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정조사 보고서에서도 ‘2차 가해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기재됐지만, 지금까지도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참사 피해 반복되지 않도록, 이태원 참사 추가 조사 필요”
-
- 입력 2023-10-23 16:33:24
- 수정2023-10-23 16:38:37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진상규명을 위한 30대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오늘(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변호사회관 조영래홀에서 보고회를 열고 “(경찰과 검찰, 국정조사 등) 기존 조사는 참사 당일 현장에 각 기관의 담당자들이 몇 명이 있었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등 기초적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다”며 “참사 과정 중 위법행위를 부각하거나 입증할 수 있는 특정 주제들에 치중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원인 규명 활동의 최종 목적은 또 다른 참사의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향후 추가과제 조사는 모든 기관의 활동을 ‘피해 최소화’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확인하고 재난안전법상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재난관리 개념과도 부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회 주최 측은 경찰, 소방,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서울시, 용산구 등 6개 정부 기관의 책임을 물으며 진상규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먼저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참사 전후 대응을 진상규명 과제로 꼽았습니다. 특히 김 청장의 기소가 지연되는 이유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참사 당일 이태원에 정보관이 파견되지 않은 이유, 경찰 내부 보고서 은폐·삭제 이유,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의 관련성 등도 경찰에 대한 진상규명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어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이유, 구급차 이송과 사망자 판정 과정, 참사 예방 단계에서 행정안전부의 책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참사 대응 등도 추가 조사과제로 규정했습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에 대한 조사 과제로는 참사 초기 대응,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 인파 예측 실패 원인, 참사 후 임시 영안소 운영 경위 등을 꼽았습니다.
이 밖에도 유가족 정보 제공 지연, 구체적 피해자 지원 대책 미비, 사망자에 대한 명예훼손과 2차 가해 등을 언급하며 피해자 지원이 적절했는지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참사 초기부터 원인을 희생자에게 돌리고 ‘유가족이 희생자를 이용해 이익을 취하려 한다’는 내용의 2차 가해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정조사 보고서에서도 ‘2차 가해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기재됐지만, 지금까지도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들은 오늘(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변호사회관 조영래홀에서 보고회를 열고 “(경찰과 검찰, 국정조사 등) 기존 조사는 참사 당일 현장에 각 기관의 담당자들이 몇 명이 있었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등 기초적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다”며 “참사 과정 중 위법행위를 부각하거나 입증할 수 있는 특정 주제들에 치중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원인 규명 활동의 최종 목적은 또 다른 참사의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향후 추가과제 조사는 모든 기관의 활동을 ‘피해 최소화’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확인하고 재난안전법상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재난관리 개념과도 부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회 주최 측은 경찰, 소방,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서울시, 용산구 등 6개 정부 기관의 책임을 물으며 진상규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먼저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의 참사 전후 대응을 진상규명 과제로 꼽았습니다. 특히 김 청장의 기소가 지연되는 이유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참사 당일 이태원에 정보관이 파견되지 않은 이유, 경찰 내부 보고서 은폐·삭제 이유,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의 관련성 등도 경찰에 대한 진상규명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이어 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뤄지지 못한 이유, 구급차 이송과 사망자 판정 과정, 참사 예방 단계에서 행정안전부의 책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참사 대응 등도 추가 조사과제로 규정했습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에 대한 조사 과제로는 참사 초기 대응,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 인파 예측 실패 원인, 참사 후 임시 영안소 운영 경위 등을 꼽았습니다.
이 밖에도 유가족 정보 제공 지연, 구체적 피해자 지원 대책 미비, 사망자에 대한 명예훼손과 2차 가해 등을 언급하며 피해자 지원이 적절했는지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참사 초기부터 원인을 희생자에게 돌리고 ‘유가족이 희생자를 이용해 이익을 취하려 한다’는 내용의 2차 가해가 이어지고 있다”며 “국정조사 보고서에서도 ‘2차 가해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기재됐지만, 지금까지도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민영 기자 mymy@kbs.co.kr
최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2주기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