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사회에 나왔는데…저임금·부당대우까지 ‘빈곤의 악순환’
입력 2019.07.16 (21:35)
수정 2019.07.16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특성화고 졸업생들 중엔 형편이 어려워 일찍 사회에 뛰어든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일자리로 밀려나니, 빈곤의 악순환에서 헤어나긴 어렵습니다.
오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모 씨는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 형편이 어려워 특성화고를 졸업한 뒤 곧바로 생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마트 점원, 학원 강사, 휴대전화 판매까지 닥치는 대로 일하며 매달 50만 원씩 집에 보태고 있습니다.
벌이를 생각하면 좀처럼 희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OO/특성화고 졸업생/음성변조 : "(한 달에) 110만 원 받았어요. 최저시급이 안 되고 임금 체불을 당했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또 그만두고 다른 데 가도 이게 반복되는 것 같아요."]
특성화고 졸업생 300명을 조사해보니 정규직은 13%에 불과했고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몰렸습니다.
그나마 60%는 임금이나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도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근속연수나 기업 규모 등 각종 변수를 감안해 따져 봐도 고졸이라는 이유만으로 대졸 임금의 88%에 불과했습니다.
어떤 일을 해도 대졸보다 12% 정도 돈을 덜 받는다는 얘기입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취업을 해도 고용 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겁니다.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 "소득수준에 따라서 학력에서 격차가 벌어지고 이와 같은 학력 격차가 다시 또 소득수준의 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봅니다."]
졸업생들은 공무원과 공기업 채용 확대보단 제대로 된 직업교육과 능력에 맞는 정당한 임금 지급이 먼저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특성화고 졸업생들 중엔 형편이 어려워 일찍 사회에 뛰어든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일자리로 밀려나니, 빈곤의 악순환에서 헤어나긴 어렵습니다.
오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모 씨는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 형편이 어려워 특성화고를 졸업한 뒤 곧바로 생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마트 점원, 학원 강사, 휴대전화 판매까지 닥치는 대로 일하며 매달 50만 원씩 집에 보태고 있습니다.
벌이를 생각하면 좀처럼 희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OO/특성화고 졸업생/음성변조 : "(한 달에) 110만 원 받았어요. 최저시급이 안 되고 임금 체불을 당했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또 그만두고 다른 데 가도 이게 반복되는 것 같아요."]
특성화고 졸업생 300명을 조사해보니 정규직은 13%에 불과했고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몰렸습니다.
그나마 60%는 임금이나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도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근속연수나 기업 규모 등 각종 변수를 감안해 따져 봐도 고졸이라는 이유만으로 대졸 임금의 88%에 불과했습니다.
어떤 일을 해도 대졸보다 12% 정도 돈을 덜 받는다는 얘기입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취업을 해도 고용 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겁니다.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 "소득수준에 따라서 학력에서 격차가 벌어지고 이와 같은 학력 격차가 다시 또 소득수준의 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봅니다."]
졸업생들은 공무원과 공기업 채용 확대보단 제대로 된 직업교육과 능력에 맞는 정당한 임금 지급이 먼저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찍 사회에 나왔는데…저임금·부당대우까지 ‘빈곤의 악순환’
-
- 입력 2019-07-16 21:37:40
- 수정2019-07-16 21:51:25
[앵커]
특성화고 졸업생들 중엔 형편이 어려워 일찍 사회에 뛰어든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일자리로 밀려나니, 빈곤의 악순환에서 헤어나긴 어렵습니다.
오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모 씨는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 형편이 어려워 특성화고를 졸업한 뒤 곧바로 생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마트 점원, 학원 강사, 휴대전화 판매까지 닥치는 대로 일하며 매달 50만 원씩 집에 보태고 있습니다.
벌이를 생각하면 좀처럼 희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OO/특성화고 졸업생/음성변조 : "(한 달에) 110만 원 받았어요. 최저시급이 안 되고 임금 체불을 당했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또 그만두고 다른 데 가도 이게 반복되는 것 같아요."]
특성화고 졸업생 300명을 조사해보니 정규직은 13%에 불과했고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몰렸습니다.
그나마 60%는 임금이나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도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근속연수나 기업 규모 등 각종 변수를 감안해 따져 봐도 고졸이라는 이유만으로 대졸 임금의 88%에 불과했습니다.
어떤 일을 해도 대졸보다 12% 정도 돈을 덜 받는다는 얘기입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취업을 해도 고용 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겁니다.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 "소득수준에 따라서 학력에서 격차가 벌어지고 이와 같은 학력 격차가 다시 또 소득수준의 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봅니다."]
졸업생들은 공무원과 공기업 채용 확대보단 제대로 된 직업교육과 능력에 맞는 정당한 임금 지급이 먼저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특성화고 졸업생들 중엔 형편이 어려워 일찍 사회에 뛰어든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일자리로 밀려나니, 빈곤의 악순환에서 헤어나긴 어렵습니다.
오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모 씨는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 형편이 어려워 특성화고를 졸업한 뒤 곧바로 생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마트 점원, 학원 강사, 휴대전화 판매까지 닥치는 대로 일하며 매달 50만 원씩 집에 보태고 있습니다.
벌이를 생각하면 좀처럼 희망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OO/특성화고 졸업생/음성변조 : "(한 달에) 110만 원 받았어요. 최저시급이 안 되고 임금 체불을 당했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또 그만두고 다른 데 가도 이게 반복되는 것 같아요."]
특성화고 졸업생 300명을 조사해보니 정규직은 13%에 불과했고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몰렸습니다.
그나마 60%는 임금이나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도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근속연수나 기업 규모 등 각종 변수를 감안해 따져 봐도 고졸이라는 이유만으로 대졸 임금의 88%에 불과했습니다.
어떤 일을 해도 대졸보다 12% 정도 돈을 덜 받는다는 얘기입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취업을 해도 고용 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겁니다.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 "소득수준에 따라서 학력에서 격차가 벌어지고 이와 같은 학력 격차가 다시 또 소득수준의 격차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봅니다."]
졸업생들은 공무원과 공기업 채용 확대보단 제대로 된 직업교육과 능력에 맞는 정당한 임금 지급이 먼저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
오수호 기자 odd@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